"진짜 숨만 쉬어요"...MICE 시장 코로나 피해액 2.4조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5-05 08:00:04
  • -
  • +
  • 인쇄
[위기에 처한 MICE 산업, 해법은?] (상)
행사 90% 취소되면서 관련업계 '초토화'
8년간 마이스업계에 종사하다 2019년 창업한 A씨는 지난해 8월 폐업을 고민했다. 주요 사업이 행사장에 무대장비와 동시통역 장비 등을 임대하는 것인데, 코로나로 모든 행사들이 취소되다보니 수입이 전무했다. 다행히 행사들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면서 조금씩 일거리가 생겨나고 있지만 여전히 불안한 상태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고 한다. 

A씨는 "코로나가 심했을 땐 정말 매출이 0원이었다"며 "차에 장비를 싣고 행사장에 가는 길에 취소가 된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수입이 없는 상태에서 대출을 받아 회사는 유지했던 A씨는 더이상 대출받을 곳도 없었다. A씨는 "여기저기 돈을 많이 빌렸다"면서 "더이상 대출받을 수도 없어서 당시는 정말 너무 막막했다"고 털어놨다. 

▲국내 대표 MICE 복합단지 '코엑스'

B씨는 지난해 2월 한 마이스업체에 취직했다. 갈수록 좁아지는 취업문을 간신히 통과했지만 B씨는 출근한지 얼마되지 않아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재택근무를 해야 했다. B씨는 "업무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재택근무를 하려니 동료들에게 질문하기도 힘들고, 내가 지금 제대로 하고 있는지 파악하기도 힘들었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같은 상황이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없다는 것이다. 결국 B씨는 휴직을 해야 했다. 휴직 6개월은 월급의 70%를 받았지만 이후부터는 무급휴직에 들어갔다. 고용불안에 시달리던 A씨는 지난해 9월 직장을 퇴사했다. B씨는 "끝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무급휴직으로 마냥 시간을 허비할 수 없었다"면서 "결혼도 연기되고 너무 억울하다"며 눈물을 흘렸다.


◇ 행사 90% 취소 "진짜 숨만 쉬어요"

마이스(MICE) 산업은 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s), 컨벤션(Conventions), 전시(Exhibitions)를 유치하거나 개최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산업을 총칭한다. MICE 산업은 행사 참가자들이 행사지 숙박과 쇼핑 그리고 주변지역 관광, 문화 등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전후방 산업효과가 크다. 그래서 지방자치단체들이 너도나도 MICE에 뛰어들고 있다.

국내 MICE 시장은 4조원 규모다. 관련기업은 2700여개에 이르고, 종사자들도 2만1000여명에 달한다. 이같은 이유로 정부는 마이스 산업을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으로 인식해 2009년 17대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지정하고 다양한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마이스(MICE) 업계는 말 그대로 초토화됐다. 전국적으로 확산세가 심해지던 지난해 2월~5월까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국 거의 모든 전시회가 취소되거나 연기됐다.

한국전시산업진흥회는 "코로나로 인한 2020년 전시 산업의 피해액은 최대 2조4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코로나19의 관광산업 영향과 대응방안' 보고서에서도 마이스업계의 피해규모가 여실히 드러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국제회의업체 모두가 2019년보다 지난해 매출이 감소했다. 감소율도 평균 84%에 달했다.



◇ 대출받아 회사 연명···무급 견디다 퇴사

서울의 경우 2020년 상반기 개최 예정이었던 마이스 행사가 90%나 취소됐다. 부산의 경우도 예년보다 매출이 80% 이상 감소했다.

마이스업계 한 관계자는 "메르스(MERS)와 사스(SARS)도 힘들긴 했지만 이 정도는 아니었다"면서 "지금은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겨우겨우 숨만 쉬면서 버티거나, 버티다가 지쳐서 문을 닫은 곳도 많다"며 심각한 상황을 이야기했다.

이 때문에 업계 종사자들의 근무환경도 불안정하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회의업 종사자들 대부분이 코로나 이후 정상적으로 근무하지 못하고 있다. 무급휴직 8%, 유급휴직 24%, 임금삭감 8%, 교대·단축근무 10% 그리고 퇴사자도 16%나 됐다. 10명 중 3명만 정상근무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업체들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며 "업체 대표들은 대출을 받아 월급을 주며 버티고 있지만 그마저도 한계에 직면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매출이 80% 이상 줄었는데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최근 부산관광공사는 "국제회의 개최 가능시기는 2023년 5월로 예측된다"고 밝히기도 했다. 예전처럼 활발히 국제회의가 개최되려면 앞으로 2년 이상이 더 걸릴 것이라는 절망적인 예측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제철, CDP 선정 기후대응 원자재 부문 우수기업 수상

현대제철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분야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현대

'해킹사고' 부실 대응 SK텔레콤..."ESG 등급 하락 불가피"

SK텔레콤 해킹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유출되면서 SKT의 ESG평가에서 사회(S)부문과 종합부문 등급이 1등급씩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객

KB국민은행, 올해 지역에 '작은 도서관' 9곳 더 늘린다

KB국민은행이 올해까지 134개의 'KB작은도서관'을 조성해 미래세대를 위한 독서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KB국민은행은 지난 14일에는 울

LG유플러스, CDP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LG유플러스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호텔에서 열린 '2024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코리아 어워즈'에서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CDP Climate

11번가 사령탑 교체...신임 대표로 박현수 CBO 선임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가 지난 29일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신임 대표이사로 박현수 11번가 CBO(최고사업책임)를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안정은 전임 대

경기도 푸드뱅크, 세제와 휴지 등 '생활용품'도 기부받는다

경기도가 푸드뱅크를 통해 식품뿐만 아니라 세제와 휴지 등 다양한 생활용품도 기부받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푸드뱅크·마켓은 취약계층에 기부

기후/환경

+

대구 함지산 산불 '재발화'...강풍에 불씨 되살아나

이틀만에 주불이 잡히면서 완전된 것으로 알았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다시 발화하면서 주민들이 다시 대피했다. 건조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불어대는

기후위기로 야외 음악공연도 '위기'...티켓 판매부진 현상

호주에서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RMIT)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발간한 '뮤

"해운탄소세 피하려면 '전기추진선'으로 교체해야"

탄소배출이 많은 선박을 전기추진선으로 대체하고 녹색해운항로를 개척하면 해운부문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운은 전

기후재해 보상은 왜 제한?...손보사 車보험약관 공정위 '심판대'

기후위기로 올여름도 무더위와 수해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 피해는 보상하지 않는 보험약관의 불공정 조항을 개정해

대구 산불 이틀째 진화율 82%...주불 아직도 못잡아

지난 28일 발생해 이틀째 번지고 있는 대구 함지산 산불이 아직도 주불을 잡지 못하고 있다.산림 당국에 따르면 29일 오전 8시 기준 대구시 북구 노곡&mid

트럼프 '해저광물' 개발규제 완화에..."생태계에 치명적" 비판

미국이 해저 광물 개발을 장려하기로 한 결정에 "해양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