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로 없어서 못팔아요"...추위도 못 식히는 '캠핑 열풍'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9:14:55
  • -
  • +
  • 인쇄
캠핑용 난방용품 '불티'..."캠핑의 묘미는 여름보다 겨울"
"(캠핑) 난방용품은 품절이에요. 제조사도 제품이 없어서 못팔아요."

코로나19 장기화로 문화활동과 외부활동의 제약이 많았던 2020년. 그러나 캠핑 열풍은 대단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인지 겨울 한파가 몰아치는데도 캠핑 열풍은 식을 줄 모르고 이어지고 있다.

2년 차 '캠핑족'인 직장인 A씨(32)는 지금까지 캠핑 장비를 구입하는데만 500만원 이상을 썼다. A씨는 "겨울 캠핑은 난방제품이 없으면 힘들지만 요즘은 워낙 좋은 난방제품들이 많아서 겨울철 캠핑이 힘들지 않다"면서 "난방용품만 있으면 집보다 더 따뜻하다"고 말했다.

올 9월부터 캠핑을 시작했다는 B씨(30)도 캠핑의 매력에 푹 빠져있다. 내년 1월까지 주말마다 캠핑장을 모두 예약해놨다고 했다. B씨는 자신만의 공간을 매번 새롭게 꾸미는 것이 캠핑의 매력이라 말한다. B씨는 "자연이 최고의 인테리어"라며 "자연을 벽지 삼아 나만의 공간을 꾸미다 보면 너무 행복하다"고 말했다.

▲난로를 설치해 따뜻하게 즐기는 겨울 캠핑

올해 특히 '캠핑' 인구가 늘어난 것은 코로나19의 영향이 컸다. 코로나19 방역수칙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시행되면서 사람들이 붐비는 곳을 피해 한적한 캠핑장을 찾고 있다. 타인과의 접촉을 피하면서 여행을 겸한 야외활동을 하기엔 캠핑이 최적이기 때문이다.

이같은 결과는 검색데이터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캠핑'이 구글 트렌드의 올해의 검색어로 선정되는가 하면, 네이버 데이터 분석결과 2020년 캠핑의 검색량은 전년대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겨울철 캠핑용품 판매량을 봐도 이같은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다. 얼마전 네이버 라이브 쇼핑에서 진행한 파세코 캠핑난로는 1분만에 1000대가 팔렸다. TV홈쇼핑에서도 방송시작 3분만에 준비된 1000대가 완판됐다. 파세코 관계자는 "방송하는 족족 품절되고 있다"면서 "현재 공급이 주문 물량을 따라가지 못할 정도"라고 혀를 내둘렀다.

홈플러스에서도 겨울 캠핑 필수 아이템인 침낭 매출이 전년대비 350% 뛰었다. 또 캠핑용 등유난로도 준비된 물량 600대가 입고 당일 완판됐다. 인천의 한 캠핑용품 매장의 직원은 "난방용품은 없어서 못 판다"며 "수년간 매장을 운영했지만 제조사조차 품절인 경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도 고객들처럼 물건이 입고되기만 마냥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 때문인지 각 매장에 있는 난방제품들의 재고가 온라인 캠핑 커뮤니티에서 실시간 공유되는 재미있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


도대체 이렇게까지 겨울철 캠핑에 열광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 겨울밤 정취를 느끼는 '불멍'

많은 캠핑족들이 꼽는 겨울 캠핑의 가장 큰 매력은 추운 겨울 따뜻한 불앞에서 느끼는 안식이라고 말한다. 추운 겨울밤 아래 낭만에 젖어 모닥불 앞에서 하는 '불멍'은 겨울밤의 정취를 더한다.

'불멍'(타오르는 장작불을 보며 멍하니 있는 것)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SNS에서 가장 인기있는 키워드 중 하나였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캠핑 중 '불멍'을 통해 어려운 환경에 지친 몸과 마음의 안식을 찾는 것이다.

◇ 벌레 걱정 NO..."덥고 습하지 않아서"

A씨는 "여름철 캠핑은 찝찝함을 감수하고 가야 된다"며 "비도 자주 오고 습한데, 무엇보다 가장 불편한 건 벌레"라고 말했다. 실제로 많은 캠핑족들은 여름철 벌레 때문에 곤욕을 치른다.

음식에 벌레가 들어가는가 하면 밤에는 조명 앞에 수많은 벌레가 모여든다. 하지만 겨울에는 이런 벌레가 없다. 이런 점도 겨울철 캠핑의 깔끔한 매력으로 꼽힌다.

◇ 내가 꾸미는 감성 공간

흔히 캠핑은 감성이라고 한다. 도시에서 벗어나 노지에 텐트를 치고 자신만의 공간을 감성적으로 꾸민다. 셀프 인테리어와 DIY를 통해 자신만의 공간을 직접 꾸미는 것이 트렌드가 된 요즘, 캠핑이 그 트렌드에 딱 들어맞았던 것이다. 이에 더해 코로나19로 SNS 사용시간이 많아진 요즘, 자신이 꾸민 공간을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캠핑을 하는 사람들도 적지않다.

게다가 캠핑장은 야외시설의 특성상 사회적 거리두기 행정규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캠핑장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방역과 거리두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해변, 산, 캠핑장 등 야외라고 해서 코로나에 안심할 수 없다"면서 "야외라고 하더라도 '3밀'의 환경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현대차, 인니에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 개소...수거부터 교육까지

현대자동차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생태계 조성 일환으로 인도네시아에 지역주민 주도형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을 개소했다. 16일(현지시간) 인도네

삼성전자-삼성물산, 혈액으로 암 조기진단 美기업에 1.1억불 투자

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증상이 없는 사람의 혈액 채취만으로 암을 조기 진단하는 미국 생명공학 기업 '그레일(Grail)'에 16일(현지시간) 1억1000만달러를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기후/환경

+

[주말날씨] 비온 후 '쌀쌀'...서울 기온 5℃까지 '뚝'

이번 주말에 또 비소식이다. 이 비가 그치고 나면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추워지니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비는 17일 저녁 서쪽부터 내리기 시작해 밤사

기후변화에 위력 커진 태풍...알래스카 마을 휩쓸었다

미국 알래스카 해안이 태풍 할롱에 초토화됐다. 폭풍으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1500명 이상의 마을 주민이 이재민이 됐다.15일(현지시간) 알

올여름 52년만에 제일 더웠다...온열질환자 20% '껑충'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던 올여름 온열질환자 수가 작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9월 2

호주 열대우림, 탄소흡수원에서 '배출원' 됐다

기후가 점점 더 고온건조해지면서 탄소 흡수원인 열대우림이 역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연구진은 호주 퀸

CO₂ 농도 사상 최고치…WMO “기후시스템,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기후시스템이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고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15일(현지시간) AP통

200개 마을이 고립됐다...멕시코 몇일째 폭우로 피해 속출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가 멕시코 중부와 동부 지역을 강타하며 최소 66명이 숨지고 75명이 실종됐다.16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멕시코 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