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칫거리였던 조개껍질 '어엿한 건축자재'로 재탄생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3-08 18:40:33
  • -
  • +
  • 인쇄
브라질 한 디자인회사가 제작한 '수루루 코보고' 박람회서 눈길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취급받던 조개껍질이 건축자재로 재탄생해 눈길을 끌고 있다.

브라질의 건축디자인업체인 '로젠바움'(Rosenbaum)은 매년 수천톤씩 발생하는 조개껍질을 이용해 건축자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건축자재는 남미 최대의 건축박람회 '엑스포 레베스티르(Expo Revestir) 2020'에 전시되면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EXPO REVESTIR 2020에 전시된 '수루루 코보고(Sururu Cobogo)'

조개껍질이 건축자재로 재탄생할 수 있었던 것은 로젠바움의 마르셀로 로젠바움의 관심 덕분이다. 그는 어느날 브라질 동북부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작은 도시 알라고아스주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는 '수루루(Sururu)'에 주목했다. '수루루'는 열대 홍합의 한 종류다.

'수루루'가 들어가는 요리는 2014년 알라고아스주의 무형유산으로 지정될만큼 브라질 북동부 지역의 상징적인 전통요리다. 유명하다보니 먹는 사람도 그만큼 많다. 

문제는 '수루루' 껍질이다. 알라고아스주에 쌓이는 수루루 껍질은 한달에 300톤에 달할 정도였다. 고스란히 쓰레기로 전락한 이 껍질은 고장의 미관을 해칠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주범이 됐다.

마르셀로는 바로 이 '수루루' 껍질에 주목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찾았다. 그것은 바로 브라질 현대디자인의 한 요소인 '코보고'(Cobogo)에 적용하는 것. '코보고'는 투각으로 문양을 새겨넣은 블록을 통칭하는 용어다. 열대 기후인 브라질 북동부는 공기순환을 위해 이 '코보고' 디자인을 자주 사용한다.

▲마을에 수북이 쌓여있는 '수루루(Sururu)' 껍질

'코보고'는 주로 시멘트와 유리를 사용해 제작한다.
마르셀로는 '수루루' 껍질을 이용해 코보고를 제작했다. 수루루 껍질을 갈아서 반죽을 만들고 이 반죽으로 '코보고'를 만들다보니, 마르셀로는 완벽한 질감을 낼 수 있는 최적의 껍질 크기를 찾기 위해 수개월동안 테스트를 거듭했다고 한다.
▲아름다운 무지개 빛깔을 보이는 '수루루 코보고'

그 결과 시멘트와 다른 유기적인 모양과 껍질의 곡선, 질감 그리고 수루루 껍질의 무지개 빛깔이 아름답게 보이는 '수루루 코보고'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수루루 코보고'는 모두 수작업으로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수루루 코보고는 현재 브라질 전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버려지는 굴 껍질이 지역사회의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2018년동안 버려진 굴 껍질의 양은 30만3000톤에 달했다. 이에 지자체에서는 이를 비료로 재가공하거나 바이오시멘트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버려지는 굴 껍질도 브라질의 '수루루 코보고'처럼 언젠가 실용적이고 멋스러운 재료로 탄생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매출 9.5조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사고많은 건설업계 '초비상'

연매출 약 9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건설업계 7위인 포스코이앤씨가 창사 43년만에 절체절명의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적으로 중대재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AI로 탄소배출 '폭등'…빅테크 '넷제로' 목표 사실상 물 건너갔다

구글과 아마존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급증하면서, 이들이 공언해온 '넷제로' 목표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기후

Z세대, 기업 ESG활동에 민감...67% "비싸도 ESG 실천기업 제품 구매"

Z세대는 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이른바 '미닝아웃(가치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개한 'ESG 경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기후/환경

+

"탄소 저장해드립니다"…노르웨이 'CCS' 사업에 33억불 투자

북유럽 국가 노르웨이가 최근 북해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영구 저장하는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사업에 33억달러(약 4조5800억원)를 투입했다. 석유개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르포]사과 5알에 1만6000원?...폭염·폭우에 과일·채솟값 '껑충'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치솟은 물가는 6일 뉴스트리 취재진이 찾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마트에서도 고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