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박진영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2 11:31:37
  • -
  • +
  • 인쇄
▲강릉시가 기부받은 생수를 학교와 경로당, 유치원 등에 생수를 배부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계층을 비롯해 학교와 복지시설, 경로당, 유치원 등지에 배부하기 시작했고, 시민들에게도 나눠줄 계획이다. 

현재 강릉은 식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4.2%까지 떨어지면서 수도 계량기를 75%까지 잠그는 제한급수를 시작했고, 공공 화장실 47군데와 수영장 등은 폐쇄조치했다. 강릉시는 완전한 단수가 되지 않도록 격일제 혹은 시간제 단수까지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9월까지 큰비가 내린다는 소식이 없어 강릉의 가뭄은 더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를 지원하기 위한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기업들의 생수기부가 쇄도하고 있다.

쿠팡은 2리터 생수 20만명을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지원한다고 2일 밝혔고,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도 이날 2리터 생수 100만병을 강릉시에 기부했다. 이는 약 5억원 상당으로, 현재까지 최대 규모다. 우리금융도 2리터 생수 20만병을 기부했다. 재생의학 전문기업인 파마리서치는 2리터 생수 20만병을 지원했다.

강원도 정선군도 2리터 생수 2만병을 전달하는 한편 생활용수용 운반급수 차량 1대(20t)도 지원했다. 경기도 역시 강릉의 제한급수 소식에 지난 1일 2리터 생수 1만6000병을 긴급 지원했다. 앞서 양평군은 지난달 29일 350mL 병입수 1만병을 강릉시에 지원한 바 있다. 충남 보령시는 강릉시에 500mL들이 생수 4만2208병을 긴급 지원했다. 원주시도 지난달 22일 8400만원 상당의 생수 500mL 약 12만병을 긴급 지원한 바 있다.

강원도 차원의 지원손길도 이어졌다. 강원특별자치도의회도 2리터 생수 1만병을 지원했다.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은 98만8000병의 생수를 지원했다. 강원개발공사도 2리터 생수 1만병을 긴급 지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첫 사례 탄생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와 탄소발자국 상호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에서 상호인정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 지클로(G.CLO)의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기후/환경

+

"올가을 '라니냐' 발생률 55%"...韓 고온다습한 가을?

올가을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이 55%로 전망됐다.세계기상기구(WMO)는 2일 엘니뇨·라니냐 전망에서 9∼11월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을 55%, 라니냐도

내년도 환경부 예산안 15.9조...탈탄소와 기후대응에 중점투자

2026년도 환경부 예산 15조9160억원 가운데 36.4%인 5조8000억원이 기후재난 대응 등 사회안전망을 조성하는데 사용되고, 34.5%인 5조5000억원이 재생에너지와

'전국 지하수 지도' 36년만에 완성...환경부, 3일 선포식

전국 '지하수 지도'가 36년만에 완성됐다. 정부가 전국 지하수 지도를 만드는 기초조사를 시작한 시점은 19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부는 지하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한밤중에 건물이 '와르르'...아프간 규모6 지진에 800명 넘게 사망

오랜 전쟁으로 고통받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규모 6 지진이 발생하면서 수백명의 사람들이 사망하는 일이 벌어졌다.1일(현지시간) AFP통신은 전날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첫 사례 탄생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와 탄소발자국 상호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에서 상호인정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 지클로(G.CLO)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