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사상 첫 폭염주의보…"놀랍게도 기후변화 때문 아냐"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6 10:54:36
  • -
  • +
  • 인쇄


미국 알래스카주가 기상 관측 이래 처음으로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고온 자체는 이례적이지 않지만, 기상청이 새로 도입한 경보 체계에 따라 처음으로 '폭염'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미국 국립기상청(NWS) 페어뱅크스 사무소는 13일(현지시간) 알래스카 내륙 중동부 지역에 사상 첫 폭염주의보를 발표했다.

예보에 따르면 페어뱅크스, 타나나, 포트유콘, 이글 등의 지역들은 15일(현지시간) 낮 최고기온 29~32℃까지 오를 전망이었다. 이는 6월 평균보다 10℃ 이상 높은 수준이긴 하지만 기상청은 "기록적인 고온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폭염주의보가 처음 발령된 이유는 단순히 더워졌기 때문이 아니라 올해 6월부터 알래스카에도 해당 경보체계를 도입했기 때문이다. NWS는 기존에는 '특보(special weather statement)' 형태로 더위를 알렸지만, 올해부터는 '폭염주의보(heat advisory)'라는 용어를 정식 도입해 전달 효과를 높이기로 했다.

NWS 소속 기상학자 알렉야 스리니바사는 "이건 단순한 명칭 변경이 아니다"라며 "알래스카 주민들이 이례적인 더위에 더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명확한 전달이 필요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와의 연관성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알래스카기후정책센터 리치 토만은 "폭염주의보 발령은 기후변화 때문이 아니다"라며 "해당 지역은 2024년 들어서만도 이미 두 차례 섭씨 32도를 넘긴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조치는 순전히 행정적 절차의 변화"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알래스카는 다른 주와 달리 냉방시설이 거의 없고, 대부분의 건물이 열을 가두는 구조로 설계돼 있다. 이 때문에 평소보다 조금만 기온이 올라가도 실내에서는 체감 고온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토만은 "알래스카 대부분의 건물은 난방을 전제로 설계돼 있어 외부 기온보다 훨씬 더 더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야외에 산불이 발생한 경우 창문을 열어 환기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온열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NWS는 알래스카 최대 도시인 앵커리지 지역에도 앞으로 폭염주의보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직 앵커리지에는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기온이 관측되지 않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기후/환경

+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IPCC 보고서 개요에 韓 입장 반영

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두달새 8㎞ 사라졌다...10배 빨리 녹고있는 남극 빙하

남극반도 동부의 헥토리아 빙하(Hektoria Glacier)가 기존에 관측된 최고 속도보다 10배 빠르게 녹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4일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학 나

엑손모빌, 기후변화 부정여론 확산에 금전 살포 '발각'

석유대기업 엑손모빌이 라틴아메리카 단체들에게 금전을 살포하면서 기후변화 부정 여론을 퍼뜨린 사실이 발각됐다.3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은 익

기후리더십 美→中으로 전환?...10일 개막 'COP30' 관전포인트

이달 10일~21일 브라질 베렘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내용은 무엇일까.올해 회의의 핵심 아젠다는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