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온 3배 빠르게 상승한 동해...영양가 부족한 바닷물로 전락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1 11:15:04
  • -
  • +
  • 인쇄

전세계 연안에 비해 3배 빠른 속도로 수온이 상승한 동해는 바닷물의 영양분도 크게 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최근 22년간의 인공위성 자료와 수산과학조사선 자료를 분석해보니, 해양온난화로 인해 동해 연안의 기초생산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국립수산과학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동해의 수온이 전세계 평균속도보다 3배 이상 빠르게 상승했다. 1968∼2023년 56년간 전지구 표층 수온이 0.7℃ 오르는 사이, 동해는 1.9℃나 올랐다.

동해 바닷물이 뜨거워지면서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가 갈수록 커지면서 성층(표층과 저층 사이)이 강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수층간에 물질 순환이 약해져 영양염 공급이 떨어지고 있다. 그만큼 기초생산력이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초생산력은 식물플랑크톤이 광합성으로 유기화합물을 생산하는 능력으로 생태계 에너지 공급원의 최소단위를 말한다.

2003년~2024년까지 최근 22년간의 인공위성 정보를 분석한 결과, 동해 연안 기초생산력은 연간 0.3%씩 감소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수산과학조사선을 통해 관측한 결과, 2024년 기초생산력은 최근 6년(2018~2023년) 평균 대비 약 13% 감소했다. 중·대형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범위는 연간 1630평방킬로미터(㎢) 줄어들어 해양생태계 구조가 변하고 있다는 것이 뚜렷이 나타났다.

1990년~2023년까지 동해 연안 성층의 강도는 연평균 약 1.83%씩 증가추세를 보였다. 특히 2015년 이후에는 과거 25년 평균과 비교해 약 13.8% 증가했다. 이는 전 지구적 성층 강도의 평균 증가율인 약 4.9%보다 2.5배 이상 높았다.

이러한 성층 강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대기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의 증가와 △저위도로부터 우리 해역으로 열을 공급하는 동한난류 세력의 증가 등 해양온난화 심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으며, 이러한 물리·화학적 변화는 동해 연안 생태계의 기초생산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명태 등 동해안의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