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워진 동해…제일 많이 잡히던 오징어 90% 줄었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14 11:07:17
  • -
  • +
  • 인쇄

동해안의 어종지도가 5년 사이에 완전히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오징어, 도루묵 등 주요 어종의 어획량은 10% 수준으로 줄었고, 대신 방어는 2배 가까이 늘어났다.

14일 해양수산부와 강원도에 따르면 동해안에서 주로 잡히던 한류성 어종은 급격히 줄어들고, 난류성 어종이 늘어나면서 어업계가 혼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은 914톤으로 5년 전인 2020년 8691톤의 10%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오징어 어획량은 5년동안 말그대로 '급감'했다. 2021년 6232톤, 2022년 3657톤, 2023년 1456톤으로 매해 2000~3000톤씩 큰폭으로 줄어들었다. 한류성 어종인 도루묵도 2020년 2982톤에서 2021년 1973톤, 2022년 1084톤, 2023년 476톤, 2024년 356톤으로 급격히 줄었다.

반대로 난류성 어종인 방어, 복어, 다랑어 등의 어획량이 늘었다. 방어는 2020년 2408톤에서 2024년 4516톤으로 5년 사이에 2배 가까이 늘었다. 복어류 역시 2020년 351톤에서 꾸준히 증가해 2024년 1341톤을 기록했다. 참다랑어는 2020년 32톤만 잡힌데 반해 2024년 139톤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어종 변화의 원인으로는 해수온 상승이 지목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이 발간한 2024년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6년간 우리나라 해역 연평균 표층 수온은 약 1.44℃ 상승했다. 특히 동해는 1.9℃ 올라 기존에 주로 잡히던 한류성 어종이 북쪽으로 넘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주요 어종이 변하면서 어업계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어종에 따라 잡는법이나 다루는 방법, 유통에 필요한 허가와 면허가 바뀌기 때문에 어민들이 쉽게 전환하지 못하는 것이다.

강원도에 따르면 최근 먼바다로 오징어잡이에 나섰던 어민 가운데 40%가 올해 조업 포기를 선언했다. 또 근해 채낚기어선 59척 가운데 절반이 정부 어선 감척 지원사업에 신청했다. 감척이란 어업계의 폐업 신청으로 볼 수 있다. 어획량 감소로 어선 유지가 어려워졌다는 뜻이다.

해양수산부와 국립수산과학원은 변화하는 어종지도 파악을 위해 관련 연구에 나섰으며, 지역간 조정 대책도 추진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