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구글도 나섰다…빅테크, AI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경쟁 본격화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7 12:20:27
  • -
  • +
  • 인쇄
▲앱트로닉이 개발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아폴로'(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시장 판도를 휩쓸었다면 올해는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분야가 차세대 AI로 떠오르고 있다. 테슬라가 선도하고 있던 로봇 시장에 메타, 애플 등 빅테크가 줄줄이 참전하면서 판이 점점 커지고 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부서를 꾸리고 있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메타 앤드루 보스워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최근 "라마 플랫폼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소비자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라마는 메타 자체 개발 AI 모델로 회사의 소셜미디어 플랫폼(SNS)에 적용되고 있다. 메타는 이를 이용해 집안일을 하는 로봇 개발부터 여러 휴머노이드 업체가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메타의 휴머노이드 로봇팀은 가상현실 헤드셋을 포함해 메타버스 관련 연구를 해온 리얼리티 랩스 부문 내 신설될 예정이다. 또 이를 위해 미국의 로봇 분야 업체 피겨 AI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글도 최근 로봇 개발업체 앱트로닉에 3억5000만달러(약 5000억원)의 대규모 투자 소식을 알리며 로봇 경쟁에 뛰어들었다. 앱트로닉은 테슬라의 강력한 경쟁자로 꼽히며, '아폴로'라는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 중으로 현재 메르세데스-벤츠 공장에 투입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구글은 지난 2013년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포함한 여러 로봇 기업을 인수하며 로봇 개발에 나섰지만, AI 기술이 성숙하지 않아 큰 성과 없이 기업을 재매각하고 프로젝트를 해산한 바 있다. 약 10년이 지난 현재 발달된 AI를 기반으로 한 로봇용 소프트웨어를 앱트로닉 휴머노이드에 적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성형 AI 붐을 일으켰던 챗GPT 개발사 오픈AI도 지난 1월 당국에 로봇 분야를 포함한 상표 등록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2020년 중단했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재게를 명시했다.

애플은 미래 스마트홈 생태계 구축을 비전으로 두고 휴머노이드, 비휴머노이드 로봇 전반을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하고 하드웨어 업체와 협력하는 것과 달리 애플은 자체 AI와 긴밀하게 통합된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전문가들은 애플의 로봇 양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며, 2028년 이후로 내다보고 있다.

휴머노이드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테슬라도 자사 로봇 '옵티머스'를 올해 공장에 배치할 계획을 발표하는 등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현대차와 삼성전자·LG전자 등 빅테크 기업들이 보스턴다이내믹스, 레인보우 로보틱스 등 로봇기업을 잇달아 인수했으며, AI를 미래 먹거리고 택한 통신사들 역시 로봇 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인간처럼 행동하고 사고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은 큰 관심을 받았다. 인간 수준으로 끌어올린 AI를 실제 세계로 확장하는 방향으로 이뤄지는 혁신이 시야에 그대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로봇 공학의 챗GPT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며 생성형 AI 시대가 열렸던 것처럼 AI 휴머노이드 기술 혁신을 전망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2035년까지 약 54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빅테크가 이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시장 규모는 더 가파르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