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신고 했더니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알림문자...시청의 황당 실수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7-04 16:34:52
  • -
  • +
  • 인쇄
▲한 부모가 지난달 태어난 아기의 출생신고를 했다가 김해시청으로부터 '사망신고' 안내문을 받았다. (사진=김해시청 홈페이지 캡처)

경남 김해의 한 부모가 태어난 아기의 출생신고를 했다가 시청으로부터 사망신고 접수완료 안내문을 받은 황당한 일이 벌어졌다.

지난달 26일 김해시청 '시장에게 바란다' 게시판에는 이같은 민원이 올라왔다. 지난달 17일 아기를 낳은 민원인 A씨가 같은달 20일 출생신고를 한지 엿새 후 시청에서 '사망신고가 처리됐다'는 메시지를 받았다는 것이다.

이날 김해시청이 A씨에게 보낸 메시지에는 '고인의 명복을 빈다'며 '접수한 사망신고가 처리 완료됐다'는 내용이 담겼다.

A씨는 이러한 내용을 전하며 "힘들게 아이를 낳고 기쁜 마음이었는데 부모 가슴에 대못을 박아버렸다"고 토로했다.

그는 "신고를 잘못하였나 자책하게 되었고, 행정복지센터 전화 2번, 김해시청 3번의 전화를 거치고 거쳐 오전내내 업무도 보지 못하고 전전긍긍했다"고도 전했다.

특히 A씨는 법적대응을 하고 싶어 시청에 연락했지만 '국민신문고에 올리라'는 답변만 받았다고 전해 시청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A씨는 "이번 일을 겪고 김해시를 떠나고 싶은 생각까지 들었다"며 "시청에서는 오발송이라며 별거 아닌 일로 생각하는 것같다"고 비판했다.

이에 김해시는 4일 해당 게시물에 "출생신고 후 처리 결과를 잘못 발송한 데 대해 불편한 마음을 갖게 해 송구하다"는 답변을 달았다.

시청 측은 "우리 시는 혼인신고, 출생신고, 사망신고, 이혼신고, 개명신고 등 1년간 8000~9000건 정도를 처리하고 있다"며 "휴일을 제외하고 하루평균 40건에 달하는 가족관계등록 신고를 접수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렇게 신고 접수된 가족관계등록 처리사항을 민원인에게 문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문자 서비스를 제공할 때 수기로 직접 입력하다보니 실수로 귀하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시는 "사랑스럽고 소중한 아이에게도 부모님에게도 다시 한번 죄송한 마음을 전해드린다"며 "향후 이런 일이 없도록 재발 방지에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귀하께서 출생신고 한 자녀의 가족관계등록부는 정상등록 처리됐다"며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