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로 사라졌던 멸종위기종 '꼬리명주나비' 돌아왔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7-04 14:07:48
  • -
  • +
  • 인쇄
▲멸종위기종 '꼬리명주나비' (사진=연합뉴스)

개발사업 여파로 사라졌던 '꼬리명주나비'가 부산 사상구에 돌아왔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사상구 괘법동에 멸종위기종 꼬리명주나비가 번성하고 있다.

괘법동에 위치한 10여평가량의 공터에는 꼬리명주나비의 유일한 먹이인 쥐방울덩굴이 높게 우거져 있다. 한 환경단체가 사라지는 꼬리명주나비를 복원하고자 10년 전부터 이 일대에 쥐방울덩굴들을 조성한 덕분이다.

이곳에는 번식철을 맞아 짝짓기하거나 알을 낳은 나비들, 쥐방울덩굴 위에 자리잡은 애벌레들도 찾아볼 수 있다. 현재 서식중인 개체수는 150여마리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꼬리명주나비는 세계자연보전연맹에 의해 멸종위기 보호종으로 지정된 호랑나빗과 곤충이다. 극동아시아에만 서식하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이 나비는 따뜻한 기후에 주로 활동하며 앞날개 길이 25∼36㎜에 가늘고 긴 꼬리가 특징이다.

꼬리명주나비는 불과 20년 전까지만 해도 흔했지만, 유일한 먹이인 쥐방울덩굴이 하천 정비 등 개발사업의 여파로 사라지면서 개체수가 급감했다. 이에 여러 지자체에서 생물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꼬리명주나비 복원작업을 진행 중이다.

꼬리명주나비 서식지 조성에 힘썼던 장경준 자연보호사상구협의회 대표는 "쥐방울덩굴을 조성하고 3∼4년 후부터 나비들이 조금씩 되살아나기 시작했다"며 "환경단체 회원들이 도와준 덕분"이라고 강조했다.

이 단체는 앞으로 꼬리명주나비의 서식지를 생태공원 등으로 옮겨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장 대표는 "도로 바로 옆에 서식지를 조성하다보니 차에 깔려죽는 나비들이 많다"면서 "어렵게 나비를 복원한만큼 관할당국이 적절한 장소를 마련해 나비들이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줬으면 한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