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북한산' 산행 유의...최근 3년간 산악사고 최다지역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4-07 11:16:29
  • -
  • +
  • 인쇄
서울 산악사고 구조활동 연평균 1854건 벌여
산악사고 절반은 북한산 등 4대 산에서 발생
▲북한산국립공원 산악안전봉사단원들이 낙석위험지역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에서 산악사고로 가장 많은 구조활동을 벌인 곳은 북한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산악사고 구조활동은 총 5562건으로 연평균 1854건이 발생했는데, 이 기간동안 북한산 구조활동이 1205건으로 가장 많았다. 

북한산 다음으로 관악산이 817건으로 많았고, 도봉산 671건, 수락산 239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 4개의 산에서 있었던 구조활동을 합치면 전체의 52.7%로 과반이 넘는다. 

최근 3년간 산악사고 구조활동이 가장 많았던 해는 지난해다. 지난해 구조활동은 1987건으로 2021년에 비해 157건(8.6%)이 증가했고 2020년에 비해 242건(13.9%)이 증가했다. 또 소방헬기가 출동한 산악사고는 총 626건으로 연평균 208.7건에 달했다. 

지난해 구조된 인원은 1295명으로 2021년 1238명, 2020년 1090명과 비교하면 각각 57명(4.6%), 205명(18.8%)이 증가했다. 소방헬기로 구조한 인원은 198명이다.

사고원인별로는 사고부상이 219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조난 986건, 개인질환 592건 등의 순이다.

월별 구조활동은 가을철인 10월(732건)과 9월(585건)이 다른 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봄철인 4월(557건)과 5월(526건)이 그 뒤를 이었다.

이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봄철을 맞아 산행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민안전확보 차원에서 '봄철 산악사고 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오는 5월 말일까지 '산악안전지킴이' 활동을 통해 주요 등산로 등에 간이응급의료소 설치, 유동 순찰 및 안전 산행 지도, 등산로 안전시설 관리 실태 확인 등 본격적인 봄철 산행 인구의 증가에 대비할 예정이다. '산악안전지킴이'는 소방공무원, 의용소방대, 시민산악구조봉사대 등으로 구성돼 있다.

아울러 등산객 조난사고 발생시 북한산 등 3개 산에 배치된 산악구조대 또는 소방서 구조대가 출동하여 드론을 활용한 효과적인 수색 및 24시간 구조활동을 전개하고 응급상황에는 소방헬기를 통한 긴급이송도 추진한다.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안전한 산행을 위해 날씨에 맞는 의상과 등산화를 착용해야 한다"며 "혹시 모를 위험상황에 대비해 스마트폰용 119신고앱을 설치해 사용법을 익혀둘 것"을 당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