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새 장내 독성미생물 급증..."미세플라스틱 먹기때문"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8 17:14:51
  • -
  • +
  • 인쇄
면역력 낮추고 독소 방출하는 미생물 늘어
바닷새 유행병 늘면서 인간 종간감염 우려


미세플라스틱 때문에 바닷새의 장내 유해미생물이 급증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독일 울름대학교 글로리아 파켈만 박사후 연구원 주도 연구팀이 캐나다와 포르투갈의 바닷새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바닷새 장속에 항생물질의 내성을 가진 미생물과 플라스틱을 분해하면서 독소를 방출하는 미생물 등이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현재 바다에는 직경 5mm 이하의 입자의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230만톤가량 떠다닌다. 먹이활동을 비롯해 해수면 위에서 오랜시간을 보내는 바닷새들은 이렇게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섭취하다보니 미세플라스틱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연구팀은 캐나다 키키커화크 지역의 이누이트족 사냥꾼들에게 기증받은 북방풀마갈매기 27마리,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에서 빌딩에 부딪혀 죽은 코리슴새 58마리의 사체에서 소화액이 분비되는 '전위'와 대변을 배출하는 '배설강' 샘플을 채취해 분석했다.

▲시료가 채취된 북방풀머갈매기(연보라)와 코리슴새(연두색)의 활동반경 (자료=네이처 생태와 진화)


그 결과, 미세플라스틱을 더 많이 섭취한 바닷새일수록 장내 미생물이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장내에 미생물이 다양하면 건강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해 장내 미생물이 다양해질 경우 정반대의 상황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세플라스틱에 더 많이 노출된 바닷새의 내장에는 항생 물질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이 늘어나 바닷새가 질병에 더 취약하게 만들었다. 또 산성을 띤 소화기관 속에서 플라스틱을 변형시키고 분해하는 기능을 가진 미생물도 나타났다. 플라스틱 제조시 쓰이는 화학성분 1만여 가지에 달한다. 플라스틱이 분해되면서 화학성분이 새어나오게 되는데, 대부분 생체에 해로운 독성물질이다.

지난 1일 영국 자연사박물관 연구팀이 바닷새의 소화기관에 지속적인 염증을 유발하는 미세플라스틱의 '물리적 피해'를 입증한 데 이어, 이번 연구에서는 바닷새에 미치는 '화학적 피해'가 입증된 것이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의 화학적 피해에 대한 연구는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실 환경에서 진행된 적은 있지만, 실제 생태 환경의 사례를 가지고 연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사람의 경우 바닷새에 비해 미세플라스틱 섭취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장내 미생물 환경에 있어 바닷새만큼의 변화는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고 밝혔다. 다만 인간에게도 충분히 부수적인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 주의 깊게 들여다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바닷새들이 점차 질병에 취약해지면서 새로운 유행병이 돌게 되면 언제 사람에게 종간 감염으로 이어질 지 모른다는 것이다.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의 플라스틱 생물학자 마틴 바그너 연구원 "자연 생태계를 방해할수록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염되는 질병인 동물원성 감염증이 발생할 확률이 늘어난다" 우려했다.

해당 연구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와 진화'(nature ecology & evolution)에 27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