뽑히고 짓밟히고...희귀종 '동강할미꽃' 사라질판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7 16:57:30
  • -
  • +
  • 인쇄
전세계 우리나라에서만 서식하는 꽃
탐방객 늘면서 훼손된 꽃들이 수두룩
▲뿌리째 뽑힌 동강할미꽃 (사진=연합뉴스)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자라는 희귀종 '동강할미꽃'이 탐방객들로 인해 사라질 판이다.

서덕웅 동강할미꽃보전회장은 동강할미꽃 개화기와 맞물려 군락지에 탐방객들이 몰려들면서 꽃의 훼손이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1997년 발견된 동강할미꽃은 우리나라에서만 서식하는 희귀종으로, 대표적인 군락지가 강원도 정선군 귤암리에 있는 동강변 암벽인 일명 '뼝대'다.

생김새도 화사하고 아름다워 개화기가 오면 동강할미꽃을 보러 가는 탐방객이 늘어난다. 올해도 이달 중순부터 뼝대 일대는 주중에도 수백 명의 탐방객으로 북적이고 있다.

문제는 그만큼 동강할미꽃의 훼손도 심각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서 회장은 "사진을 찍기 위해 꽃을 훼손하거나, 뿌리째 캐서 집으로 가져가는 등 동강할미꽃의 수난은 벌써 수십년째 이어지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동강할미꽃이 뿌리째 뽑힌 채 말라죽어있는가 하면, 밟히거나 꽃봉오리가 잘린 꽃들도 수두룩하게 발견됐다는 것이다.

서 회장은 "2009년 모 기관의 조사에서 뼝대 일대에서만 800개체 이상이 확인됐지만, 2021년 뼝대 일대는 물론 상·하류까지 귤암리 전역을 직접 조사한 결과 180개체만 남았다"며 "이런 상황이라면 동강할미꽃은 멸종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귤암리 주민은 2005년 동강할미꽃보존회를 만들어 동강할미꽃을 지키고 있지만 주민단체의 봉사활동만으로는 탐방객의 무차별 훼손을 막기 힘든 실정이다.

서 회장은 27일 "암벽에 오르는 탐방객에게 안된다고 하면 '네가 뭔데' 등의 험악한 말이 돌아오는 것이 현실"이라며 "특히 단속도 하지 않는 기관의 단속알림 현수막은 주변 환경만 해칠 뿐"이라고 한탄했다.

▲동강할미꽃 (사진=정선군청)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