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참여 뜸들이는 금융권…"글로벌 탄소세 도입해야"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03 14:42:35
  • -
  • +
  • 인쇄
도만스키 FSB 사무총장 "금전적 인센티브 필요"
화석연료 투자 1.1% 줄어…기후위기 대응 미흡
▲금융안정위원회(FSB)의 사무총장 디트리히 도만스키(Dietrich Domanski)


금융권을 탈탄소 대열에 동참시키려면 '글로벌 탄소세'와 같은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제금융감시기구인 금융안정위원회(FSB) 디트리히 도만스키(Dietrich Domanski) 사무총장은 "기후위기 대응에 금융권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글로벌 탄소세'와 같은 금전적인 인센티브를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고 1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금융권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금전적인 인센티브가 연계되지 않는 한 은행의 참여는 어렵기 때문에 이같은 당근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도만스키 사무총장은 "금융권은 이윤지향적인 조직이기 때문에 실익이나 기대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확고한 가격신호를 보내지 않으면 크게 기대할 것이 없다"면서 "글로벌 탄소세가 가장 이상적인 가격신호"라고 강조했다. '탄소세'는 수입품의 탄소배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탄소배출권거래제(ETS)와 연동해 부과하는 관세다.

파리기후변화협정이나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등도 기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금융을 핵심수단으로 언급한 바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당사자국 협의체'(IPCC)는 2030년까지 '녹색금융' 규모를 3~6배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FSB는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FCD)를 결성했다. 현재 100여국 3400여개가 넘는 정부기관, 금융기관 및 기업이 지지선언을 표명했다.

지난 2021년 4월에는 전세계 45개국의 450개 은행·보험사·자산운용사 등 금융기관이 참여하는 'GFANZ'(Glasgow Financial Alliance for Net Zero)가 결성되기도 했다.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제로를 목표로 지난 4월 결성한 금융연합체다.

하지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투자방침이나 정보공개 방침이 대대적으로 개편되면서 금융권은 진통을 겪었다. 협의체의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악영향을 끼치는 투자사업에서 손을 떼는 등 수익성을 포기해야 하는 경우 투자자들의 불만에 직면하게 된다. 반대로 수익성을 좇을 경우 협의체의 방침을 거스르는 딜레마적 상황에서 법적 책임을 우려한 몇몇 은행들은 GFANZ를 떠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실제로 이익감소를 우려한 금융권들은 화석연료 투자감축 등 기후위기 대응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열대우림 행동네트워크(RAN)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전세계 60대 시중은행들의 석탄·원유·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투자금액은 약 7420억달러(약 947조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대비(약 7500억달러) 1.1%밖에 줄지 않았다.

도만스키 총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금융시스템의 대응능력을 평가하는 기후 스트레스 평가에 너무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며 "시장기반 해법이 훨씬 더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적인 차원에서의 위기관리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강해지면서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를 중심으로 여러 차례 규제 패키지들이 도입되고 있지만, 점차 그 기억이 흐려지면서 협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끝으로 도민스키 총장은 "가격신호를 확실하게 주려면 가능한 한 빨리 일관되게 시행돼야 하지만,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주요 경제권역에서 바젤4로 알려진 규제 패키지 도입을 2년 연기하겠다는 중대한 불이행 결정을 내렸다"며 글로벌 규제기관이 연대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튀르키예 규모 6.1 지진...200km 떨어진 이스탄불도 '흔들'

튀르키예 서부 발르케시르 부근에서 10일 오후 7시 53분쯤(현지시간)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다.이날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에 따르면 지진의

"韓 10대 기업 폭염 책임액 161조원...발전5사가 58% 비중"

지난 13년간 전세계 폭염으로 인한 피해에서 국내 10대 기업들이 차지하는 책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161조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161조원 가운데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佛 파리 면적의 1.5배가 '잿더미'…기후변화가 빚은 산불

프랑스 남부에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파리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기후변화로 발생한 이례적인 가뭄이 산불로 이어졌다는 것이다.프

[주말날씨] 천둥·번개 동반한 '국지성 호우'...남부지방 최대 150㎜

이번 주말에 또다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호우가 내리겠다. 토요일인 9일 오후부터 일요일인 10일 오후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