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장 탄소감축한다더니 석유회사와 계약?...'그린워싱' 휩싸인 콜드플레이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5-12 12:21:01
  • -
  • +
  • 인쇄
▲그린워싱 논란선상에 선 콜드플레이 (사진=NESTE 홈페이지 캡쳐)


탄소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공연을 공언했던 세계적 록밴드 콜드플레이가 핀란드 석유회사 네스테(NESTE)와 공연관련 협약을 맺어 '그린워싱' 비판에 직면했다.

네스테는 세계 최대 바이오연료 생산기업으로, 콜드플레이 공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절반으로 줄이는 역할을 맡았다. 콜드플레이가 이같은 내용으로 지난주 네스테와 계약을 맺었다고 밝히자, 환경단체들은 "네스테가 그린워싱을 위해 콜드플레이를 이용하고 있다"며 콜드플레이는 네스테와 협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지구의 벗(Friends of Earth)에 따르면 네스테는 2019~2020년 팜유 생산을 위해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100km2 가 넘는 숲을 벌채했다. 이는 여의도의 약 34배에 이르는 면적이다. 팜유는 코코아와 더불어 산림을 가장 크게 훼손하는 작물 중 하나다. 

유럽의 교통전문 비정부기구(NGO)인 교통및환경(T&E)의 카를로스 캄보 암벨(Carlos Calvo Ambel) 선임이사는 "콜드플레이는 지금이라도 네스테와 협업을 중단하고 진정한 친환경 기업을 찾아야 한다"며 "콜드플레이가 산림 벌채와 관련된 회사와 협력하는 것은 스스로 그린워싱에 이용당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콜드플레이는 이같은 논란에 "네스테와 계약을 맺기전에 그들이 새롭게 만들어진 원료를(virgin material)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받았다"며 "네스테가 폐식용유와 목재 제품 제조시 발생하는 부산물과 같은 재생가능한 폐기물만 사용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즉 생산 외의 가공을 거친 적이 없는 미사용 원료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T&E 측은 "재사용 식용유의 유럽연합(EU) 물량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중국 등에서 수입된다"며 "그래서 사용이 끝난 식용유를 지속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T&E 연구에 따르면 현재 유럽에서 수입되는 폐식용유의 34%는 중국, 19%는 팜유를 생산하는 주요국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들여온다. T&E의 바이오연료 매니저인 크리스티나 메스트레(Cristina Mestre)는 "유럽은 운송연료에 들어가는 폐식용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10년 안에 600만톤의 폐식용유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이는 역으로 폐식용유 생산국이 자국의 폐식용유를 모두 수출하고 본인들 국가에서는 팜유 사용을 조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콜드플레이는 올해 예정된 월드투어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6~2017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마지막 월드투어 때보다 50% 줄이고, 무대 전력을 전부 재생에너지로 사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콜드플레이의 'Music of the Spheres' 월드 투어에서 판매되는 티켓당 나무 1그루가 심어질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기후/환경

+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

주거지·학교 인근서 유해가스 '뿜뿜'...불법배출 업체 10곳 적발

주거지와 학교 인근에서 유해가스를 불법 배출한 업체들이 적발됐다.경기도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도장·인쇄업체 210개를 대상으로 유

올 7월 한반도 평균기온 27.1℃...'역대 두번째로 더웠다'

우리나라의 올 7월은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더웠다.5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7.1℃로 나타났다. '20세기 최악의 더위'가 나타난

[날씨] '폭염과 폭우' 급변하는 날씨...6일 120㎜ 폭우 예보

5일 낮기온이 36℃까지 치솟는 폭염이었다가 수요일인 6일은 최대 120㎜의 폭우가 퍼붓는 종잡을 수 없는 날씨를 보이겠다.고온다습한 남풍의 유입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