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명진 기자가 쓴 기사

thumbimg

코오롱인더스트리, 나무로 친환경 플라스틱 만든다
코오롱인더스트리가 나무로 친환경 플라스틱을 만든다.코오롱인더스트리는 최근 미국 오리진 머티리얼스(OriginMaterials)와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양사가 보유한 바이오 플라스틱 제조기술을 결합해 석유화학 페트(PET)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친환경 플라...2021-11-10 16:56:16 [나명진]

thumbimg

롤스로이스도 뛰어든다…소형원전 'SMR'에 몰리는 관심
영국 자동차 회사인 롤스로이스가 소형모듈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 사업에 뛰어들었다. 영국 정부가 추진중인 신규 원자력 프로젝트에 컨소시엄을 구성해 신청, 승인과 함께 정부 자금 지원까지 받는다.롤스로이스는 영국 투자관리 회사인 BNF캐...2021-11-09 15:13:26 [나명진]

thumbimg

세계어머니단체도 나섰다..."화석연료 지원자금 중단하라"
전세계 어머니들로 구성된 대표단이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6)의 알록 샤르마(Alok Sharma) 회장을 만나 화석연료 지원자금 중단을 요구했다. 자녀들의 건강이 화석연료에 대한 조치에 달려있다는 취지다.대기오염으...2021-11-08 17:38:49 [나명진]

thumbimg

익스피디아, 돌고래쇼 여행상품 '판매중단'
세계적인 여행사 익스피디아(Expedia)가 고래·돌고래쇼가 포함된 여행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 이는 환경단체들이 수년전부터 포획된 바다 생물들을 착취하는 볼거리와 체험활동 금지를 촉구한데 따른 것이다.지난 5일(현지시간) 익스피디아는 트위터를 통해 ...2021-11-08 14:39:48 [나명진]

thumbimg

[COP26] 전세계 103개국 '2030년까지 메탄 30% 감축'에 서약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전세계 103개국 정상들이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 감축하는 내용을 담은 '국제메탄서약'에 참여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지난 9월 지구온난화 대응 차원에서 '국제메탄서약'을 추진...2021-11-03 12:01:33 [나명진]

thumbimg

스마트기기 보안위협 증가...모니터링하려다 사생활 노출
홈PC나 스마트폰에 대한 보안위협이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과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국내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 건수는 1년 사이에 2배 증가한 1만4211건이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관련 앱 다운로드 건수가 5% 증가한...2021-11-03 11:31:35 [나명진]

thumbimg

[COP26] 브라질 "2030년까지 탄소배출 50% 감축 목표"
브라질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 참석한 조아킹 레이치 브라질 환경부 장관은 1일(현지시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50%...2021-11-02 10:03:03 [나명진]

thumbimg

저커버그는 왜 '페이스북' 사명 '메타'로 바꾸는 걸까?
페이스북이 사람들에게 친숙한 사명을 굳이 '메타'로 바꾸는 이유는 무엇일까. 회사측은 차세대 소통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혁신이라는 설명과 달리,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어내기 위한 '이미지 세척'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28일(현지시간)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2021-10-29 17:27:10 [나명진]

thumbimg

"메탄가스 줄이겠다"며 배출 30% 차지하는 축산업 '방치'
세계 주요 국가들이 메탄가스 배출 감축에 대한 공약을 내놓았지만, 정작 배출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축산업에 대해서는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가디언지는 대부분의 국가의 경우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배출에 대응할 수 있는 규정이 없는 것...2021-10-28 17:21:27 [나명진]

thumbimg

돈이 얼마나 많길래...美억만장자 10명 '부유세'가 322조원
미국에서 '부유세'가 실행되면 억만장자 10명에게 2760억달러(약 322조원)의 세금을 추가로 거둘 수 있다. 이는 전체 부과되는 부유세의 절반에 해당한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미국 최고부자인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는 500억달러(...2021-10-27 11:27:42 [나명진]

thumbimg

라벨없는 '코카-콜라' 나왔다
코카-콜라의 독창적인 디자인 컨투어병도 무라벨 제품으로 나왔다. 코카-콜라는 컨투어병 디자인을 적용한 무라벨 페트 제품 '코카-콜라 컨투어 라벨프리'를 한국에서 처음으로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무라벨 제품은 코카-콜라와 코카-콜라 제로 2종이다.'코카-콜라 컨투어...2021-10-25 09:58:57 [나명진]

thumbimg

일본·호주 등 "우리 이익 반하는 문구 삭제해달라"…IPCC에 로비
일본, 호주, 이란 등을 포함한 일부 국가들이 기후보고서를 조작하기 위해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IPCC)에 로비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국제환경단체인 그린피스의 조사단은 IPCC에 제시된 의견서와 유엔 문서 등을 입수해 몇몇 국가들이 유엔의 기후위기 대응을 방해하기 위해...2021-10-22 16:58:36 [나명진]

Video

+

ESG

+

현대제철, CDP 선정 기후대응 원자재 부문 우수기업 수상

현대제철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분야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현대

'해킹사고' 부실 대응 SK텔레콤..."ESG 등급 하락 불가피"

SK텔레콤 해킹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유출되면서 SKT의 ESG평가에서 사회(S)부문과 종합부문 등급이 1등급씩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객

KB국민은행, 올해 지역에 '작은 도서관' 9곳 더 늘린다

KB국민은행이 올해까지 134개의 'KB작은도서관'을 조성해 미래세대를 위한 독서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KB국민은행은 지난 14일에는 울

LG유플러스, CDP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LG유플러스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호텔에서 열린 '2024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코리아 어워즈'에서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CDP Climate

11번가 사령탑 교체...신임 대표로 박현수 CBO 선임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가 지난 29일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신임 대표이사로 박현수 11번가 CBO(최고사업책임)를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안정은 전임 대

경기도 푸드뱅크, 세제와 휴지 등 '생활용품'도 기부받는다

경기도가 푸드뱅크를 통해 식품뿐만 아니라 세제와 휴지 등 다양한 생활용품도 기부받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푸드뱅크·마켓은 취약계층에 기부

기후/환경

+

대구 함지산 산불 '재발화'...강풍에 불씨 되살아나

이틀만에 주불이 잡히면서 완전된 것으로 알았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다시 발화하면서 주민들이 다시 대피했다. 건조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불어대는

기후위기로 야외 음악공연도 '위기'...티켓 판매부진 현상

호주에서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RMIT)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발간한 '뮤

"해운탄소세 피하려면 '전기추진선'으로 교체해야"

탄소배출이 많은 선박을 전기추진선으로 대체하고 녹색해운항로를 개척하면 해운부문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운은 전

기후재해 보상은 왜 제한?...손보사 車보험약관 공정위 '심판대'

기후위기로 올여름도 무더위와 수해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 피해는 보상하지 않는 보험약관의 불공정 조항을 개정해

대구 산불 이틀째 진화율 82%...주불 아직도 못잡아

지난 28일 발생해 이틀째 번지고 있는 대구 함지산 산불이 아직도 주불을 잡지 못하고 있다.산림 당국에 따르면 29일 오전 8시 기준 대구시 북구 노곡&mid

트럼프 '해저광물' 개발규제 완화에..."생태계에 치명적" 비판

미국이 해저 광물 개발을 장려하기로 한 결정에 "해양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