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은 기자가 쓴 기사

thumbimg

몽골사막·中톈산산맥 적설량, 한국 폭염일수에 영향 미친다
▲몽골 사막의 적설량이 적고(위) 톈산산맥의 적설량이 많을 때(아래) 우리나라에서 여름철 고기압이 형성되는 모습(오른쪽) (자료=UNIST)  몽골 사막과 중국 톈산산맥의 적설량이 국내 폭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2024-08-06 10:22:09 [이재은]

thumbimg

지자체 탄소중립 지원하는 '지역 온실가스 통계산정 협의체' 출범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좀더 자세하게 산정하는 '지역 온실가스 통계산정 협의체'가 오는 6일 출범한다.환경부 산하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와 지자체 탄소중립지원센터는 지역 주도 탄소중립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온실가스 통계산정 협의체'를 오는 6일 출범시킨다고...2024-08-05 14:53:25 [이재은]

thumbimg

2030년 후반 해류체계 붕괴 시작...해류순환 무너지면 '기후 대재앙'
전세계적으로 열을 골고루 분산시켜주는 주요 해류 순환체계가 이르면 2030년대 붕괴하면서 기후위기가 지금보다 더 극단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교 연구팀은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대서양 자오선 역전순...2024-08-05 14:10:53 [이재은]

thumbimg

서울에 '일본뇌염 모기' 출몰...야간 외출시 조심
▲숲모기 채집기를 설치하는 모습 (사진=서울시) 서울에서도 일본뇌염 모기가 출몰했다. 5일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은 숲모기 조사에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지난달 26일 올해 처음 채집됐다고 밝혔다. 다행히 이 모기에서는 일본뇌염 바이...2024-08-05 10:48:11 [이재은]

thumbimg

SK C&C, 베트남으로 '디지털 탄소여권 플랫폼' 확장한다
▲지난 2일 서울 마포구 누리꿈스퀘어에서 SK C&C 김민혁 Global 사업단장(왼쪽)과 FPT IS 쩐득찌광 부사장이 '글로벌 디지털 ESG 사업협력 MOU' 체결 후 기념촬영하는 모습 (사진=SK C&C) SK C&C가 '디지털 탄소...2024-08-05 10:24:22 [이재은]

thumbimg

[재생에너지 비상]용인반도체 입주하는 삼성과 하이닉스...재생에너지 '어쩌나'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일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국가 전력망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입주할 예정인 용인 첨단반도체 산업단지 재생에너지 조달에 '빨간불'이 켜졌다.삼성전자는 용인 남사읍 72...2024-08-05 08:00:03 [이재은]

thumbimg

현대차·기아, 7월 전기차 판매 약진...똘똘한 1대가 효자노릇
▲7월부터 출고를 시작한 기아 'EV3' (사진=기아) 현대자동차 전기차가 3개월 연속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코나 일렉트릭'이 7월 전기차 판매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6월에 전기차 판매량이 제자리걸음을 보였던 기아는 신차 'EV3' 덕분에 판매량이 폭증...2024-08-01 18:37:48 [이재은]

thumbimg

현대엔지니어링, 美힐스보로 태양광발전소 사업권 인수
▲'힐스보로 태양광발전소' 사업지 위치 (자료=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이 OCI에너지로부터 260메가와트(MW) 규모의 '힐스보로(Hillsboro) 태양광발전소' 사업권을 인수했다고 1일 밝혔다.지난 7월 31일 미국 텍사스주 샌 안토니오에 위치한 OC...2024-08-01 10:31:51 [이재은]

thumbimg

SBTi "탄소상쇄권 효과 미미"...스코프3 감축수단으로 인정 안할듯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가 '탄소상쇄권'이 대부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SBTi 인증에 도입하려면 효과적인 탄소상쇄권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30일(현지시간) SBTi는 내년 '기업 넷제로 표준' 개정을 ...2024-07-31 17:45:58 [이재은]

thumbimg

삼성전자 HBM 엔비디아 통과 임박?..."HBM3E 8단 3Q 본격 양산"
▲삼성전자 서초사옥 ⓒnewstree 올 2분기 반도체 사업에서 6조원 이상의 수익을 낸 삼성전자가 올 3분기에 고대역폭 메모리(HBM) 5세대인 HBM3E 8단 제품을 본격 공급하는데 이어 12단 제품도 하반기에 공급할 것이라고 밝혀, 그동안의 시장우려를 잠...2024-07-31 15:30:22 [이재은]

thumbimg

SK C&C ESG플랫폼 도입한 대원씨앤씨 '글로벌 공급망 ESG 인증' 획득
SK C&C가 자사 ESG 경영관리 플랫폼 '클릭(Click) ESG'를 통해 협력사 글로벌 공급망 ESG 평가 인증 획득을 지원하는 성과를 거뒀다.SK C&C는 '클릭 ESG'를 활용해 경영관리 플랫폼을 구축한 협력사 대원씨앤씨가 에코바디스(...2024-07-31 09:43:10 [이재은]

thumbimg

물사용량 하루 80만톤...용인반도체 국가산단 '용수공급' 타당성조사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일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용수공급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간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사업은 용인 반도체 ...2024-07-30 15:05:03 [이재은]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