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준 기자가 쓴 기사

thumbimg

5월인데 벌써 태풍이?…'힌남노'급 태풍 '마와르' 북상
▲태풍 '마와르' 예상 경로(사진=기상청 홈페이지) 세계 곳곳이 이른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 때아닌 태풍이 다가오고 있다.22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20일 괌 남동쪽 해상에서 발생한 제2호 태풍 '마와르'(MAWAR)가 이날 오전 10시...2023-05-22 18:16:37 [조인준]

thumbimg

"생성형 AI 오남용 막자"...AI 제작 콘텐츠 '표기의무법' 발의
▲프리랜서 플랫폼 크몽에서 'AI 표지'를 검색한 결과, 일반 일러스트보다 저렴하다. (사진=크몽 홈페이지 캡처)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저작권 문제나 창작의 기준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콘텐츠에 AI 활용 여...2023-05-22 12:58:46 [조인준]

thumbimg

[영상]"우리는 죽어가고 있다"...로마 분수대 또 '먹물 테러'
▲로마 명물 '트레비 분수'에 먹물을 뿌리는 환경단체(영상=@ultimoranet 트위터 캡처) 지난 4월 로마의 명물인 '바르카치아 분수대'에 먹물 테러를 가했던 극성 환경단체가 이번에 유명 관광지인 '트레비 분수'를 검게 물들였다.21일(현지시간) AFP&...2023-05-22 10:53:48 [조인준]

thumbimg

중국산 염장굴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검출돼 회수
▲A형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된 염장 굴(좌)과 어리굴젓(우)(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국내 시판되는 중국산 염장굴과 이를 원료로 국내에서 생산중인 어리굴젓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됐다.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코사무역이 수입판매한 염장굴과 이를 원료로 ...2023-05-19 18:06:59 [조인준]

thumbimg

[영상] "곰탈 쓴 사람이냐?"…서서 현관문 여는 야생흑곰
▲사람처럼 현관문을 여는 새끼 흑곰(영상=KARI BUMGARNER VIA TMX) 미국에서 한 흑곰이 마치 사람처럼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는 것이 포착돼 화제다.18일(현지시간) 현지매체에 따르면 미국 콜로라도주 북부 도시 스팀보트 스프링스에 있는 한 가정집에...2023-05-19 16:01:40 [조인준]

thumbimg

넥슨 민트로켓, 신작 프로젝트 2종 'TB'-'NAKWON' 영상 첫 공개
▲프로젝트 'NAKWON' 키아트 이미지 (사진=넥슨) 처녀작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넥슨의 게임 서브 브랜드 '민트로켓'이 차기 신작 프로젝트 2종의 개발영상을 공개했다.19일 민트로켓은 차기 신작 프로젝트인 'TB'(Top View Battle)와 'NAK...2023-05-19 10:53:28 [조인준]

thumbimg

[영상] "꿀벌을 위하여"...김효진-서경덕 '도시양봉' 영상 공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5월 20일 '세계 벌의 날'을 맞아 꿀벌 생태계 보전을 위해 '도시양봉'의 중요성을 알리는 영상을 공개했다.19일 서 교수는 배우 김효진과 함께 다국어로 제작된 영상 '꿀벌을 위하여'를 온라인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영상은 기후변화로 ...2023-05-19 10:09:18 [조인준]

thumbimg

"가장 골치아픈 곤충"...서울에 외래종 '흰개미' 출현?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마른나무흰개미과 흰개미로 추정되는 곤충(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목조건축물이나 목재가구 등 마른목재까지 먹어치우는 흰개미가 국내에서 발견돼 비상이 걸렸다.18일 환경부에 따르면 전날 서울 강남구 한 주택에서 흰개미가 나왔다는 ...2023-05-18 17:37:30 [조인준]

thumbimg

"비 내린다, 가자!"...새끼 두꺼비들 서식지로 대이동
▲이동하는 새끼 두꺼비들 (사진=연합뉴스) 전국 최대 두꺼비 산란지인 대구 수성구 욱수동 망월지에서 태어난 새끼 두꺼비들이 본격적으로 서식지 이동을 시작했다.18일 대구 수성구청에 따르면 이른 더위가 지나고 비가 내리자 새끼 두꺼비들이 서식지 이동을 ...2023-05-18 16:00:53 [조인준]

thumbimg

'꿀벌 살리자'...KB금융, 10만그루 밀원 묘목 심는다
▲헛개나무, 쉬나무, 백합나무 등 다양한 묘목으로 밀원숲을 조성하고 있다. (사진=KB금융) KB금융그룹 임직원들이 '세계 벌의 날'을 맞아 최근 집단폐사로 개체수가 급감한 꿀벌들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직접 밀원수를 심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2023-05-18 15:37:04 [조인준]

thumbimg

올해도 꿀벌 230억마리 집단폐사…"꽃·나무 2배 이상 늘려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30억마리가 넘는 꿀벌이 폐사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이같은 현상이 매년 반복되지 않으려면 현재 국내의 밀원면적으로 2배 이상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8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와 안동대 산학협력단이 '세계 벌의 날'을...2023-05-18 12:32:51 [조인준]

thumbimg

김남국 코인 논란에 P2E 게임업계 '불똥'
▲GDC 2023에서 기조연설하는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사진=위메이드) 국내 게임사가 진행하는 블록체인 게임 사업에 파란이 일고 있다. 김남국 국회의원(무소속)의 코인 논란이 플레이투언(Play to Earn, P2E) 게임규제 완화 로비 의혹으로까지 번졌기 ...2023-05-17 14:15:42 [조인준]

Video

+

ESG

+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녹색수송 사업에 투입"

신한은행은 22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1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한국형 녹색채

"영농형 태양광, 활성화하려면 '농민·농업' 중심 정책 일관돼야"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려면 농민과 농업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단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최근 정부는 농촌 인구소멸과 에너지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外근로자 8일만에 깨어나..."음식물도 섭취"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에서 감전을 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던 30대 미얀마인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했다는 소식이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

쿠팡 물류센터 50대 근로자 사망...쿠팡 산재로 번질까 '화들짝'

연일 35℃에 달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21일 연합

기후/환경

+

아마존 보호해제...브라질 '콩 모라토리엄' 19년만에 중단

COP30 의장국인 브라질이 '콩 모라토리엄'을 19년만에 중단하면서 아마존 열대우림이 파괴될 위기에 처했다.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브라질

'나무' 심는 지역에 따라 온도 낮추는 '냉각효과' 다르다?

열대지방에 나무를 심으면 다른 지역에 비해 이산화탄소 흡수 및 기후완화 효과가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우주 태양광' 무탄소 전력의 대안?..."유럽 재생에너지 80% 대체 가능"

정지궤도 위성에서 수집한 태양광(SBSP)으로 전력을 생산하면 유럽지역 재생에너지의 80%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우주 태양광'이 무

트럼프, 폐쇄 예정인 석탄발전소 강제 재가동...비용은 소비자몫

재생에너지를 배척하고 화석연료를 지지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폐쇄 예정이던 석탄발전소를 강제로 재가동시켰다.20일(현지시간

경기도 시군과 기후위기 공동대응 위해 ‘기후소통 한마당' 개최

경기도가 시군과 기후위기를 공동대응하기 위해 22일 '기후소통 한마당'을 개최했다. 기후위기 대응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기후정책 실행력 제고 방안

되살아난 태풍 '링링' 日 규슈 강타...우리나라 영향은?

열대저압부로 소멸할 것으로 예상했던 제12호 태풍 '링링'이 세력이 되살아나 일본 남쪽지역을 강타하기 시작했다.일본 기상청과 현지언론에 따르면 '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