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짝퉁' 화장품 조심...판매 후 환급 거부하거나 잠적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0 12:03:02
  • -
  • +
  • 인쇄
(사진은 본문과 상관없음)

A씨는 지난해 11월쯤 온라인 쇼핑플랫폼에서 브랜드 콤팩트를 4만원에 구입했다. 그러나 가품이 의심돼 제품은 회수됐지만 판매자와 연락이 끊겼고, 플랫폼 사업자는 판매자와 연락두절을 이유로 환급을 거부했다. 

B씨는 지난해 4월쯤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브랜드 향수를 16만4600원에 구입했다. 그런데 제품을 받아보니 정품과 비교해 뚜껑의 각인, 하단 라벨링, 향 등이 차이가 있어 가품으로 추정하고 판매자에게 환급을 요구했지만 가품감정서를 제출해야 환급해준다며 이를 거부했다.

이처럼 온라인에서 이른바 '짝퉁' 화장품 판매가 성행하고 있어 소비자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1월~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 및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접수된 온라인 가품 화장품 관련 상담은 총 447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구입경로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 70.7%(316건)로 가장 많았고, 개인 쇼핑몰도 18.3%(82건), 중고거래 플랫폼도 8.7%(39건)에 달했다.

품목별 상담건수는 '향수'가 51.5%(230건)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기초 화장품' 26.0%(116건), '색조 화장품' 11.9%(53건), '세정용 화장품' 4.4%(20건) 등의 순이었다. 이중 '기초 화장품' 및 '색조 화장품'은 최근 3년간 상담건수가 계속 증가했다.

가품으로 의심한 이유는 '정품과의 향 또는 질감 차이', '용기(분사구) 및 프린팅 차이', '제품 일련번호 및 유효기간 미표시', '화장품 사용시 피부 이상 반응 발생' 등이었다.

가품 화장품 관련 상담 사유는 '품질' 불만이 58.6%(262건)로 가장 많았는데 주로 정품이 아닌 것으로 의심되는 낮은 품질과 판매자의 정품 입증자료 미제공 등이었다.

다음으로는 가품 의심에 따른 문의시 '판매자 무응답 및 사이트 폐쇄' 등이 13.2%(59건)로 많았으며, 환급 요청시 과도한 수수료(배송비)를 부과하거나 환급 처리를 지연하는 경우가 10.5%(47건)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소비자에게 가품 입증 책임을 전가한 사례, 가품일 경우 300% 보상을 약속했으나 환급 시 보상을 거부한 사례, 제품의 개봉·사용을 이유로 환급을 거부한 사례도 확인됐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가품 화장품 피해 예방을 위해 △ 화장품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및 인증된 판매처를 통한 구입할 것 △ 화장품 구입 즉시 제품 이상을 확인할 것 △ 정품 보증서 및 라벨 확인할 것 △ 영수증, 구매내역 등 증빙자료를 보관할 것 등을 당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최남수의 ESG풍향계] 협력사 ESG 관리 못해서 망한 대기업들

국내의 한 글로벌 기업은 지난 2023년에 협력업체 문제로 곤욕을 치렀다. 이 회사의 미국 내 공장과 거래하는 협력업체가 아동 노동착취 문제로 미 연방

카카오, 연말까지 계열사 80여개로 줄인다

카카오가 현재 99개에 이르는 계열사를 연말까지 80여개로 줄인다.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주주서한을 통해 이같은 계획을 13일 밝혔다. 정신아 대표는 지

기후/환경

+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날씨] 가을 건너뛰고 겨울?...비그치면 기온 5℃까지 '뚝'

장마같은 가을비가 기온도 큰폭으로 떨어뜨리고 있다. 비가 내리면서 매일 하강하는 기온은 갑자기 찬바람이 불면서 주말아침 5℃까지 훅 내려간다.14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전세계 조류종 61%가 개체수 감소..."벌목과 농업지 확장탓"

전세계 조류종의 61%가 벌목과 농업지 확장으로 인해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10일(현지시간) 열린 세계자연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