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5 재생에너지 37% 늘려 전력부문 탄소감축 높이겠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3 17:28:45
  • -
  • +
  • 인쇄
▲23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 수립을 위한 전력 부문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최대 37%까지 늘려서 전력생산 부문 탄소배출량을 2018년 대비 68~79%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지난해 기준 10% 수준이다.

23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열린 두번째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 토론회에서 정부는 전력 생산과 관련해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 이같은 계획을 제시했다. 이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이 전력 생산의 60%를 담당해야 하는데 현재 두 발전원의 비중은 41% 수준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력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2억8300만톤에서 지난해 2억1830만톤으로 6년간 6470만톤 줄었다. 그만큼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할 여지가 많은 분야다.

정부는 '2035 NDC'안을 4개로 정리해 제시한 바 있다. 이 4개의 안은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순배출량 기준 7억4230만톤)을 '48%' '53%' '61%' '67%'까지 감축하는 안이다. 

먼저 48% 감축안의 경우 전력 부문 배출량은 2018년 대비 68%(1억9100만톤) 줄인 2035년 9200만톤이 돼야 한다고 이날 정부는 설명했다. 53% 감축안의 경우 감축률은 71∼73%(2억∼2억700만톤 감축·2035년 배출량 8300∼7억600만톤), 61·67%은 감축률이 79% 이상(2억2200만톤 이상 감축·2035년 배출량 6100만톤 이하)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감축 수단으로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제시했다.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최소 29%에서 최대 37% 이상으로 설정했다.

정부는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과 전기차 확산 등으로 인해 2035년 전력 수요가 619TWh(테라와트시)로 작년(550TWh)보다 12.6% 증가할 것으로 보고, 지난해 기준 34GW(기가와트)인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2035년 최소 130GW(48% 안), 최대 160GW(61·65% 안)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보았다. 53% 안을 택한다면 2035년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이 150∼159GW가 돼야 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원자력 발전 비중은 어떤 2035 NDC 안을 택하든 30%대를 유지해야 할 것으로 추산됐다.

48% 감축안의 경우 2035년 총발전량을 693TWh,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2TWh(29%), 원자력 발전량을 236TWh(34%),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량을 각각 55TWh(8%)와 126TWh(18%)로 제시했다.

53%안에 대해서는 총발전량 705∼711TWh, 재생에너지 발전량 222∼233TWh(32∼33%), 원자력 발전량 222∼234TWh(32∼33%), 석탄과 LNG 발전량 50∼44TWh(7∼6%)와 113∼105TWh(16∼15%)로 제시했다.

61%와 67%안을 두고는 총발전량 최대 739TWh, 재생에너지 발전량 270TWh 이상(37% 이상), 원자력 발전량 231TWh 이상(31% 이상), 석탄과 LNG 발전량 35TWh 이하(5% 이하)와 83TWh 이하(11% 이하)가 제시됐다.

총발전량이 596TWh였던 작년 기준 전원믹스는 재생에너지 9%(54TWh), 원자력 32%(189TWh), 석탄과 LNG 각각 28%(167TWh)이다.

또 정부는 배전·변전설비에 절연가스로 사용되는 온실가스 육불화황(SF6)을 조기에 친환경 물질로 대체하기로 했다. 154kV 이하 변전설비에 대해서는 애초 목표보다 5년 앞당겨 2035년 육불화황을 친환경 물질로 바꾸고 154kV 초과 설비는 50%를 대체하기로 했다.

정부는 오는 10월 14일까지 5차례 토론회를 더 열어 '2035 NDC' 정부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현대百,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종자 35종 시드볼드에 기탁

현대백화점이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울릉도·독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민간기업 최초로 '백두대간 글로

이재상 하이브 대표 "K팝 넘어 K컬처로…글로벌 성장 선순환 이룰 것"

이재상 하이브 대표이사가 전세계 청년세대에게 K팝 방법론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역에 '문화·경제적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청사진을 제

기아, 전기 PBV 'PV5' 택배차량으로 본격 공급한다

내연기관 중심의 택배 차량들이 친환경 전기차량으로 전환된다. 기아는 자사의 친환경 전동화 모델인 목적기반차량(PBV) 'PV5'를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

[알림] 11월 6일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 개최합니다

오는 11월 6일 국내외 녹색금융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보는 '제5회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이 서울 강남구 웨스틴

셀트리온 임직원들, 조류충돌방지 스티커 부착 활동

셀트리온이 인천녹색연합과 함께 야생조류 보호를 위한 ESG 활동을 펼쳤다.셀트리온은 지난 25일 인천 영종도 일대에서 지역 시민단체인 인천녹색연합

기후/환경

+

[날씨] 첫서리·첫얼음에 가을이 '꽁꽁'...추위 언제 풀리나?

갑자기 추위가 몰려오면서 첫서리가 내리고 얼음까지 얼었다. 가을에 찾아온 때이른 추위는 오는 29일 낮에 물러날 전망이다.28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

밤하늘 곤충이 사라진다…레이더가 포착한 생태계 이상신호

밤하늘을 날던 곤충들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국립기상청(Met Office)과 국가대기과학센터(NCAS) 연구진은 2014년~2021년까지 영

“기후대응이 수익구조로 변질”…브라질 연구진 '기후상품화' 비판

브라질 연구진이 기후대응이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이윤 중심으로 흐르고 있다며 경각심을 촉구했다.27일(현지시간) 브라질의 환경정책 연구기관 클

바다 떠다니는 플라스틱…가라앉으려면 '100년 이상' 걸린다

바다에 둥둥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저로 완전히 가라앉는데 최소 100년 이상 걸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런던퀸메리대학교 지리·

탄소배출권 수익으로 생태복원...호주에서 생태경제 모델 시험

호주가 탄소배출권 수익을 활용해 생태계 복원에 나서는 새로운 모델을 선보였다.27일(현지시간) 호주 비영리단체 부시 헤리티지 오스트레일리아(Bush H

[날씨] "패딩 꺼내 입으세요"...28일 아침 영하권 날씨

북쪽에서 찬공기가 유입되면서 월요일인 27일 아침 기온이 한기를 느낄 정도로 차가워졌다. 그러나 화요일인 28일 아침은 기온이 더 떨어져 영하권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