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 배출량 전망 모두 빗나갔다...엉터리 통계로 NDC 수립한 尹정부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7-30 11:03:35
  • -
  • +
  • 인쇄

윤석열 정부 시절에 산업 부문 탄소배출량 감축목표를 기존 14.5%에서 11.4%로 낮추는 근거로 삼았던 당시 산업연구원의 2024년 배출 전망이 완전히 빗나갔다. 엉터리 전망을 근거로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이 수립되는 실수가 되풀이되면 안된다는 지적이다.

30일 기후환경단체 플랜 1.5는 윤석열 정부 탄소중립기본계획의 근거가 됐던 산업연구원 보고서의 배출량 전망을 실제 통계인 '배출권거래제 업종별 배출량(2022~2024)'과 비교해보니, 산업연구원의 '산업 부분 4.5% 배출량 증가' 전망은 완전히 빗나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당시 정부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서 산업 부문 감축 목표를 기존 14.5%에서 11.4%로 낮췄다. 감축 목표를 늘려도 시원찮은 판에 이를 더 낮춰서 환경시민단체들은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정부가 산업 부문 배출량 감축 목표를 낮춘 이유는 산업연구원이 보고서를 통해 "국내 산업의 성장 추이가 지속된다는 전제 하에 2030년 산업 부문 배출량을 약 2억8600만톤으로 전망하면서 현실가능성, 감축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할 때 최종 목표 배출량은 2억3700만톤"으로 추정했다. 

이에 플랜1.5가 국회 이용우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6대 다배출 업종(철강·석유화학·시멘트·정유·반도체·디스플레이)의 2022~2024년 배출량 통계와 당시 산업연구원의 해당기간 배출량 전망을 비교해보니 '산업 부문이 아무리 감축해도 배출량이 4.5% 증가할 것'이라는 산업연구원의 전망과 달리 실제 배출량은 오히려 2.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차이는 시멘트,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해당 업종에 대해 각각 2.7%, 5.3%, 24.4% 배출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실제 배출량은 각각 10.5%, 6.8%, 3.8% 감축됐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철강 업종에 대해 산업연구원은 "2023년 이후 조강 수요 회복으로 완만히 성장할 것"이라고 근거도 없는 전망을 제시했다. 당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철강 업종이 지속된 공급과잉으로 생산설비 가동률이 70%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같은 전망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시멘트 업종에 대해서도 "국내 수요는 감소하지만 수출이 늘어 2030년까지 생산량이 4.7%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2019년 수출 비중이 25%였던 시멘트는 2023년 5%로 추락했다. 정유업종도 국제에너지기구(IEA) 등이 2030년 석유 수요가 2019년 대비 25%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음에도 이를 반영하지 않고 멋대로 2%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디스플레이는 생산공정에서 배출되는 불소계 가스를 최대 99%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상용화됐음에도 산업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전망치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분야 2024년 배출량이 2022년 대비 23.4% 증가할 것이라는 엉터리 전망을 내놨던 것이다. 그러나 삼성디스플레이는 이 기술을 이용해 불소계 가스를 97.4% 감축했고, 2024년 디스플레이 분야 탄소배출량은 2022년보다 3.8% 줄었다.

플랜1.5 권경락 정책활동가는 "산업연구원의 엉터리 전망은 대참사 수준"이라며 "배출권거래제 총량이 탄소중립기본계획과 연동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배출 기업들에 대한 배출 면죄부를 주고 산업 전환을 후퇴시키는 꼴이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진행 중인 2035년 감축목표 설정을 담당하고 있는 환경부 산하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반복되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SK온-SK엔무브 합병결의..."8조 자본확충해 사업·재무 리밸런싱"

SK온과 SK엔무브가 11월 1일자로 합병한다. 지난 2월 SK온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 합병한지 6개월만에 또다시 덩치를 키운다.SK이노베이션과 SK

'텀블러 세척기 사용후기 올리고 상품받자'...LG전자, SNS 이벤트

스타벅스 등 커피 매장에서 LG전자 텀블러 전용세척기 'LG 마이컵(myCup)'을 사용한 후기를 소셜서비스(SNS)에 올리면 LG 스탠바이미나 틔운 미니 등을 받을

올해만 5번째 사망자...李대통령, 포스코이앤씨 강하게 질타

올들어서만 4번의 사고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가 이재명 대통령의 질타를 받았다. 고용노동부는 포스코이앤씨 본사와 전국 65개 공사

기후/환경

+

[날씨] 비 없이 10일 넘게 '쨍쨍'...7월 '열대야' 최장기록

집중호우가 전국 곳곳을 휩쓸고 지나간 다음부터 지금까지 열흘 넘게 따가운 햇볕이 내리쬐는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불볕더위가 장기화되면서 서울

"온실가스도 車배기가스 규제도 폐지"...美 환경규제 '흔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환경규제의 근간이 되는 온실가스 평가를 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제한도 폐지할 계획이다.리

밭에서 익어버린 단호박…폭염에 농산물과 축산 피해 잇달아

단호박이 밭에서 그대로 익어버리는 등 폭염에 농작물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제주시 한경면에서 미니 단호박 농사를 짓는 제주볼레섬농장 대표는 지

전담부서 해체한 美 'COP30' 불참할듯...기후리더십 中으로 이동?

미국이 올해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근 유럽연합(EU)과 기후협력까지 맺은

업종별 배출량 전망 모두 빗나갔다...엉터리 통계로 NDC 수립한 尹정부

윤석열 정부 시절에 산업 부문 탄소배출량 감축목표를 기존 14.5%에서 11.4%로 낮추는 근거로 삼았던 당시 산업연구원의 2024년 배출 전망이 완전히 빗나

캄차카반도에 '8.7 초강진'...일본·러시아 쓰나미 경보

30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오호츠크해에 접한 캄차카반도에 대규모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근처 지역에 재난 가능성이 우려된다.러시아와 일본에는 '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