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부과된 관세를 일부 완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산 자동차에 부과한 25% 관세 외에 철강과 알루미늄 등 다른 품목관세가 이중으로 부과되지 않도록 조정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100일을 맞는 오는 29일(현지시간) 미국 자동차 산업 중심지 미시간주를 방문하기에 앞서 이를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은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에 앞서 철강과 알루미늄 등에도 25% 품목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조정으로 중복으로 관세를 냈던 경우는 이미 납부한 관세를 환급해줄 것으로 보인다.
또 5월 3일부터 부과되는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도 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WSJ 보도에 따르면, 향후 1년동안 미국산 자동차 가격의 3.75%에 해당하는 금액까지 부품 관세를 환급해주고, 2년 차에는 환급액을 2.75%로 줄인다. 이후 점진적으로 이를 폐지될 방침이다. 이 방침은 자동차 고율 관세 때문에 생산과 경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미국 내 자동차 업계와 노동계의 의견을 받아들인 데 따른 것이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 위대한 우리 미국 노동자들과 중요한 제휴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라며 "이번 합의는 국내에서 생산하는 업체들에 보상하고 미국에 투자하고 국내 제조를 늘리겠다는 약속을 표명한 업체들에 발판을 마련해주는 방식으로 이뤄진 대통령 통상 정책의 중대한 승리"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완화 조치로 국내 완성차 업계도 한숨 돌리게 됐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82억2200만달러에 달했다. 우리나라 자동차부품 수출액에서 미국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36.5%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