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57년만에 누적생산 1억대 넘었다...가장 많이 팔린 차는?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9-30 16:56:43
  • -
  • +
  • 인쇄
수출 48년만…1억1번째 차량은 '아이오닉 5'
폭스바겐·도요타·GM 정도가 1억대 생산달성
▲이동석 현대차 국내생산담당 및 CSO 사장(앞줄 왼쪽 두번째)과 문용문 노조 지부장(앞줄 왼쪽 첫번째), 1억 1번째 생산 차량 인수고객 김승현 씨(앞줄 오른쪽 두번째) 등 참석자들이 30일 울산 출고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누적 생산 1억 대 달성 및 1억 1번째 생산 차량 출차 기념 행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생산량이 1억대를 돌파했다. 1967년 자동차 산업에 첫 발을 내디딘지 57년만이자, 1976년 수출을 시작한지 48년만에 거둔 위업이다. 이 기간동안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아반떼'였다.

30일 현대차는 울산공장 출고센터에서 이동석 국내생산담당 사장, 문용문 노조 지부장 등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차량 생산 1억대 달성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1억1번째 생산차량인 '아이오닉5'는 출차 세리머니를 마치고 생애 첫 차로 '아이오닉5'를 선택한 20대 고객에게 인도됐다.

현대차는 고(故) 정주영 선대회장이 1960년대 국토 재건 및 국내 도로 확충을 계기로 미국 포드와 제휴해 1967년 12월 설립됐다. 이듬해 현대차는 울산에 조립공장을 짓고 포드의 '코티나' 2세대 모델을 들여와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1975년부터 독자모델 '포니'를 양산했다. 국내 환경에 맞는 차량을 만들려면 조립생산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독자모델을 개발하기 시작한 결과였다.

'포니'는 1976년 한국 승용차 최초로 에콰도르 등 해외에 수출된 차종이기도 하다. 1986년에는 국내 첫 전륜구동 승용차 '포니 엑셀'이 자동차 본고장 미국에 수출됐다.

▲현대자동차 포니 (사진=연합뉴스)


1986년 100만대 생산을 돌파한 현대차는 10년 뒤인 1996년 누적생산 1000만대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이후 해외 생산거점을 공격적으로 늘리며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토대를 다졌다. 1997년 해외 공장 중 가장 오랜 역사를 보유한 튀르키예 공장 준공 이후 인도 공장(1998년), 미국 앨라배마 공장(2005년), 체코 공장(2009년), 브라질 공장 (2012년) 등 세계 각지에 생산공장을 설립하며 2013년 누적 생산량이 5000만대를 넘어서게 된다.

글로벌 시장에 뛰어들면서 현대차의 생산 신기록 달성 주기는 점점 짧아져 2019년 8000만대, 2022년 9000만대 생산 고지를 밟았다. 그러다 지난해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을 거둔 데 이어 이달에 '누적생산 1억대'라는 이정표를 세웠다. 현대차가 창립에서 생산 1억대를 달성하기까지 57년이 걸렸다.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빠른 속도다.

1967년부터 2024년 8월까지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아반떼'(1537만대)였고, 엑센트(1025만대), 쏘나타(948만대), 투싼(936만대) 및 싼타페(595만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현대차 역대 차종별 누적 판매 1~5위 인포그래픽 (자료=현대자동차)


글로벌 완성차 업계 가운데 누적 생산대수 1억대를 넘긴 곳은 독일 폭스바겐, 일본 도요타,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등이다. 이 기업들의 역사는 대부분 현대차보다 긴 100년 안팎이다.

이처럼 현대차가 다른 완성차보다 1억대 고지를 빨리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끊임없는 기술개발'의 결과라는 분석이다.

현대차는 1983년 두번째 독자모델 '스텔라'를 출시한 뒤 쏘나타와 그랜저, 엘란트라 등 지금까지 인기차량으로 판매되는 모델들을 꾸준이 내놨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이겨내고 1991년 첫 독자엔진 '알파엔진' 개발에 성공하고, 1994년에 플랫폼부터 엔진, 변속기까지 독자 기술로 개발한 순수 국산차 '엑센트'를 내놓기까지 현대차의 기술개발은 멈추지 않았다. 

이후 현대차는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글로벌 기업으로도 우뚝 섰다. 2015년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와 고성능 브랜드 'N' 출시에 이어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한 아이오닉5 등 전기차 판매 증가, 인도네시아·인도 등 신흥 시장 공략 등을 앞세워 질주를 계속했다. 특히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초기 계획부터 전 과정을 주도한 제네시스는 출범 7년여 만인 2023년 8월 누적 판매량 100만대를 돌파하기도 했다.

현대차는 해외 생산 거점도 계속 늘려 글로벌 연간 약 500만대 수준의 생산 능력을 갖췄다. 여기에다 미국 조지아주에 짓고 있는 현대차그룹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울산 전기차 전용 공장, 인도 푸네 공장 등의 생산 시설 확충으로 100만대 생산 능력을 추가로 구축 중이다.

장재훈 대표이사 사장은 "1억대 누적 생산의 성과는 창립부터 지금까지 현대차를 선택하고 지지해준 수많은 글로벌 고객이 있었기에 달성할 수 있었다"며 "현대차는 과감한 도전과 집요한 연구를 통해 빠르게 성장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빌리티 게임 체인저로서 새로운 1억 대의 미래를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이동석 사장은 "창립 이후 지금까지 우리는 자동차 생산에 있어 진정성을 갖고 매일 한 걸음 나아갔다"며 "누적 생산 1억대 달성은 끝이 아닌 새로운 출발선"으로 "우리는 다가오는 전동화 시대를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누적 생산 1억대 달성을 계기로 '스마트 모빌리티 설루션 프로바이더'로서 또 한 번의 혁신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2020년 취임한 정 회장은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를 비롯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등 신기술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