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영양소 감소하는 채소들...'생물강화'로 해결될까?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9 15:25:41
  • -
  • +
  • 인쇄

잦은 비와 폭염 등의 기후변화로 채소의 영양소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식물에 인위적으로 영양소를 채우는 '생물강화'(biofortification)로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특정 영양소를 주입해서 작물을 키우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고 2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은 보도했다.

'생물강화'는 재배된 식물에 영양분을 추가하는 영양강화와 달리 씨앗에 직접 영양분을 공급하는 기술로, 1920년대 미국에서 갑상선종 등 미네랄결핍 증상을 줄이고자 식염에 요오드를 첨가하면서 시작됐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농업연구협의회(CGIAR) 등 국제기구들은 식량안보를 위한 주요 목표 중 하나로 강화작물 개발을 지정했다.

생물강화에는 여러 방식이 있다. 하나는 영양 함량을 높이기 위해 작물의 유전자를 변형하는 것이다. 또다른 방법은 식물에 영양이 풍부한 비료나 토양 개량제를 사용해 특정 미네랄을 농축하는 것이다. 식물을 선택적으로 육종해 새로운 품종을 생산하는 방법도 생물강화의 하나다.

지난 2004년 미국 텍사스대학 연구팀은 43가지 채소의 영양소가 20세기 중후반 사이에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콩의 칼슘 함량은 65mg에서 37mg으로 떨어졌고 아스파라거스의 비타민A 수치는 거의 절반으로 급락했으며 브로콜리는 철분이 감소했다.

2018년 진행된 연구에서는 대기의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높을수록 쌀의 단백질, 철 및 아연 등 영양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텍 유니얄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과도한 강우와 추위, 물리적 손상이 증가하면서 작물의 철과 아연이 30~40%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IFPRI 산하기관 하베스트플러스(HarvestPlus)는 주식 작물을 대상으로 비타민A, 철분, 아연을 더 많이 함유하도록 생물강화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 3가지 영양소는 WHO가 지정한 식단에서 가장 부족한 미량 영양소다. 하베스트플러스는 이미 400가지 생물강화 작물을 출시했으며, 이 가운데 특허를 받은 것은 없다. 이들은 2030년까지 10억명이 생물강화 식품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생물강화가 능사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벤저민 코헨 미국 라파예트대학의 환경학 교수는 "생물강화를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아니라 '반창고'일뿐"이라고 지적했다. 코헨 교수는 "투자자들이 보다 지속적인 소규모 농업 대신 생물강화에 지원할까 우려된다"며 "생물강화는 대규모 자본집약적 농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며, 오히려 집약적 농업을 더 고착화시킬 수 있다"고 짚었다.

손실되는 영양소의 규모가 생물강화로 대체할 수 있는 수준보다 더 크다는 우려도 있다. 2004년 연구를 이끌었던 도널드 데이비스 텍사스대학 교수는 "영양소가 감소한다고 하면 동시에 많은 영양소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는데, 생물강화는 식물당 고작 한두 가지 영양소에 초점을 맞춘다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접근성 측면에서도 문제다. 현재 생물강화 종자는 아직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없다. 하베스트플러스에서 생물강화 종자 비용을 기존 종자보다 낮추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정부 보조금이 있어서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정부 파트너십 모델은 산업적 규모에서보다는 영양실조가 흔하고 소규모 자작농이 활동하는 중·저소득 국가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하지만 코헨 교수는 개발도상국의 경우 유전자 변형 작물 등에 대한 규제 등 산업화 국가의 개입에 대한 저항력이 낮다는 점을 우려했다. 단순히 단일 작물 재배의 의존도를 낮추기만 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까지 기술적 개입이 이뤄질 수 있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특정 비타민이 부족하면 그것이 풍부한 다른 작물들을 심으면 된다는 입장이다.

또 농업자선단체 '그로우퍼더'(Grow Fourth)의 피터 켈리 CEO는 현재의 산업농업시스템도 생물강화보다는 화학적 강화를 더 선호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영양소 개선은 대부분 화학적 강화로 해결되기 때문에 생물강화는 현 식품 시스템에서 필수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켈리 CEO는 생물강화를 가뭄에 강한 종자를 개발하는 등 지역재배조건에 맞춰 투자하는 방향을 제안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