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지에 머무는 시간 길어지는 북극곰...몸무게 점점 줄었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2-14 12:38:29
  • -
  • +
  • 인쇄


기후변화로 북극해의 얼음이 얼지 않는 기간이 늘어나면서 해빙을 타고 먹이를 사냥하던 북극곰들이 아사 직전에 놓여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 Geological Survey) 앤서니 파가노 박사연구팀은 캐나다 매니토바주 서부 허드슨만 지역에 서식하는 북극곰 20마리를 추적관찰한 결과, 해빙 감소로 이들이 사냥하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20마리 가운데 19마리가 몸무게가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북극곰은 육지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굶주릴 위험이 높아진다. 북극곰은 겨울에 해빙을 이용해 주요 먹이인 바다표범을 사냥하고 해빙이 사라지는 따뜻한 계절에 동면하는 생애주기를 보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북극의 일부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2~4배 빠르게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북극곰이 사냥을 하지 못하는 시간이 그만큼 늘어난 것이다.

연구진들은 비디오 카메라가 달린 위성항법추적(GPS) 목걸이 사용해 허드슨만에서 3년에 걸쳐 북극곰을 1년에 3주동안 추적했다. 연구진은 "허드슨만은 1979년에 비해 2015년은 얼음이 없는 기간이 3주나 늘어났다"고 장소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이곳의 북극곰들은 1년에 평균 약 130일을 육지에 머물렀다.

연구진들은 "곰들 중 절반은 휴식을 취하고 총 에너지 소비를 동면과 비슷한 수준으로 줄였지만 나머지는 계속 활동하는 것을 발견했다"며 "곰들이 풀, 열매, 갈매기, 설치류, 바다표범 사체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했다"고 밝혔다. 또 일부 곰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175km를 헤엄치기도 했다. 

연구의 수석저자이자 지질조사국 소속 생물학자인 앤서니 파가노(Anthony Pagano) 박사는 "해빙이 없어도 북극곰은 여전히 먹이를 찾으려고 노력했다"면서 "북극곰은 창의적이고 독창적이며, 의욕만 있다면 생존을 위해 에너지 수요를 보충할 수 있는 식량 자원을 찾을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육지에서 사냥한 먹이감으로는 북극곰이 필요한 열량을 채우기 역부족이었다. 바다표범만큼 열량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진들은 "북극곰이 육지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굶주릴 위험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멜라니 랭커스터(Melanie Lancaster) 세계자연기금(World Wildlife Fund) 북극종 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함과 동시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또 하나의 증거"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야생에 남아있는 2만5000마리의 북극곰은 기후변화로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파가노 박사는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 이내로 억제돼야 북극곰 개체수를 보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존 화이트먼(John Whiteman) 폴라 베어스 인터내셔널(Polar Bears International) 수석연구 과학자는 "얼음이 없는 기간에 북극곰의 에너지 소비를 직접 측정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는 의미가 있다"며 "얼음이 사라지면 북극곰도 사라지며, 얼음 손실을 막는 것 외에는 다른 해결책이 없다"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3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