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꽁꽁 숨겼던 '간접배출량'...HSBC가 포문 연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2-14 19:26:48
  • -
  • +
  • 인쇄
화석연료 관계기업 주식과 채권까지 포함
PCAF 기준에 따라 간접배출량 공개할 듯

HSBC가 그동안 금융권이 꽁꽁 숨겨왔던 간접 배출량의 포문을 열고 있다.

유럽 최대 금융기업인 영국 홍콩상하이은행(HSBC)은 앞으로 장부에 기록되지 않은 부외 탄소배출(off-balance sheet emissions)을 공개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부외 탄소배출'은 자사 재무제표에 기입되지 않은 모든 온실가스 배출량을 뜻한다.

대부분의 은행들은 기업에 대한 대출을 기준으로 자사 탄소배출량을 계산했다. 그러나 이같은 계산법은 은행이 기업들의 주식이나 채권 발행을 주관하면서 자본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이 포함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기후활동가들은 금융권을 향해 간접 배출량을 숨기지 말고 공개하라고 촉구해 왔다.

HSBC가 간접 배출량을 공개하겠다고 밝힌 것은 그간 기후활동가들의 촉구에 화답한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기후금융 전문가들은 파이낸셜타임스 등 주요 경제지와의 인터뷰에서 "부외 탄소배출은 지금껏 금융권의 기후사각지대로 여겨온 영역"이라며 "HSBC는 앞으로 화석연료 기업과 관계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에도 배출량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 HSBC는 지난 2022년에 일회성으로 간접배출량을 발표한 바 있는데, 당시 배출량은 2950만톤이었다.

기후채권 싱크탱크인 인류세 채권연구소(Anthropocene Fixed Income Institute, AFII)에 따르면, 그동안 HSBC는 화석연료 거래에 비해 친환경 거래 비율을 상대적으로 늘려왔다. 그러나 "직접자금 조달을 중단하겠다"는 약속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유전과 가스전에서 연료를 운송·판매하는 기업에 은밀하게 자금을 조달해왔다.

실제로 지난해 HSBC는 가스운송기업인 그린사이프 파이프라인 비드코(Greensaif Pipelines Bidco)에 30억달러를 조달했다. 이 회사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Aramco)의 가스 파이프라인의 49%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뿐만 아니라 HSBC는 이탈리아 화석연료 대기업인 에니(Eni)에 33억달러의 리볼빙 대출을 제공했다. 

하지만 HSBC는 앞으로 이런 간접 자본시장에서 발생하는 배출량까지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대해 셀린 허바이저(Celine Herweijer) HSBC 최고지속가능성 이사는 "은행 배출량은 직접 대출에 비해 간접 자본 시장에서 수행하는 역할이 더 많다"며 "장부상으로는 몇 주가 걸리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간접 조달은 해당 기업 변호사가 거래에 관여하거나 주요 회계법인 중 하나가 참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뤄진다"며 "실제로 은행들이 직접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내셔널웨스트민스터은행(NatWest)과 JP모건(JPMorgan)도 이미 간접 배출량을 공개하고 있지만 HSBC처럼 석유 및 가스 부문의 탄소배출에서 대출 및 간접 자본 시장 활동까지 포함하진 않고 있다.

다만 HSBC는 모든 배출량을 공개하지 않을 전망이다. HSBC는 "PCAF 기준에 따라 간접 배출량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PCAF 기준에 따르면 은행들은 거래 기업과 관련된 배출량의 최소 3분의 1을 공개해야 한다. 이에 따라 HSBC도 PCAF 최저 한도 이내에서 배출량을 공개할 공산이 크다는 해석이다. PCAF는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 등 주요 은행이 주축이 된 지속가능 금융연합이다.

한편 HSBC는 "금세기말까지 청정에너지 및 기타 녹색거래에서 최대 1조달러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