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청정 쿡스토브' 지원사업..."탄소상쇄 10배 부풀려 거래"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1-24 14:12:53
  • -
  • +
  • 인쇄
▲ 케냐 현지주민들이 쿡스토브 사용법을 듣고 있다(출처=연합뉴스)

다국적 기업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탄소상쇄 방법인 '청정 쿡스토브' 보급사업이 기후에 미치는 실질적 혜택보다 10배 이상 부풀려져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목재와 파라핀, 등유 등 연기가 많은 연료로 취사를 한다. 이는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2%를 차지할 정도로 대기오염을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로 인해 매년 320만명이 조기사망 위험에 노출돼 있다. 

'쿡스토브'는 이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친환경 취사도구로 각광받고 있다. 전기밥솥처럼 깨끗한 대체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고 사람들의 건강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땔감을 구하기 위해 산림과 서식지를 훼손하는 것도 줄일 수 있다. 이에 국제구호단체들이 앞다퉈 저개발국을 대상으로 쿡스토브 보급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산림훼손을 줄이고 건강과 사회 환경에 이점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이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면 탄소배출권을 상쇄할 수 있다. 다국적 기업들이 쿡스토브 보급사업에 뛰어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탄소거래 추적연구소 버클리 탄소거래 프로젝트(Berkeley Carbon Trading Project)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5월~11월까지 쿡스토브 프로젝트가 신규 배출권의 약 15%를 차지했을 정도다. 각 탄소배출권은 이산화탄소(CO2) 1톤을 의미한다.

하지만 쿡스토브의 탄소배출상쇄가 실질적인 기후혜택보다 훨씬 부풀려져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연구진의 조사에 따르면, 쿡스토브 프로젝트는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생성되는 탄소상쇄보다 10배 과장된 형태로 거래되고 있다고 밝혔다.

논문의 주 저자인 안넬리스 길위(Annelise GillWieh)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연구원은 "5가지 쿡스토브 탄소배출상쇄 방법론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시장의 40%에 해당하는 샘플이 9.2배 과대평가됐다"면서 "이를 전체 시장으로 추산하면 탄소배출상쇄가 약 10배 부풀려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같은 일이 벌어지면 결국 탄소거래시장의 신뢰가 약화된다"고 지적했다.

다만 연구진은 "쿡스토브 사업 자체가 문제있는 것은 절대 아니다"며 "탄소배출권에 관한 규칙을 개혁해 신뢰할 수 있는 기후 재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쿡스토브 프로젝트가 과장돼 거래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강조했다. 실제 일부 쿡스토브 보급단체는 쿡스토브 사용량 재조사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20년간 탄소배출권을 연구해온 공동저자인 바바라 하야(Barbara Haya) 버클리 탄소거래 프로젝트 이사는 "과장된 탄소배출권 시장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며 "우리 연구가 쿡스토브가 신뢰할 수 있는 양질의 탄소배출권 공급원이 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가 발표되자 탄소배출권 기관들은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탄소배출권 인증기관인 골드 스탠다드(Gold Standard)는 "우리는 쿡스토브 사용을 직접 모니터링했다"며 "과다하게 인정된 탄소배출권은 1.5배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골드 스탠다드 대변인은 "이 연구는 단지 추정치일 뿐 학계의 주류와는 상반된 입장을 취할만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세계 최대 탄소시장 인증기관인 베라(VERRA)도 "우리가 개발중인 쿡스토브 사업타당성 방법론은 이번 연구결과를 적용받지 않는다"며 "우리가 개발중인 방법론은 현재 모범사례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쿡스토브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한 여러 측정기법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또 베라는 "쿡스토브 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취약한 지역사회 다양한 지속가능한 개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탄소금융의 역할이 지대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쿡스토브 제조회사 ATEC 벤 제프리스(Ben Jeffreys) 회장은 "이 연구를 지지한다"며 "쿡스토브가 탄소시장 부문에서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면 '1톤의 배출량 감축이 실제로 1톤'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Nature Sustainabilit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