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은행들의 '두 얼굴'...탄소중립 선언해놓고 화석연료에 투자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6 13:58:08
  • -
  • +
  • 인쇄
(출처=액션에이드 홈페이지)

'탄소중립'을 외쳤던 세계 주요 은행들이 개발도상국의 화석연료 산업에 수조달러씩 쏟아붓고 있다.

최근 반-빈곤 국제단체 액션에이드(ActionAid)가 국제무역 컨설팅회사 프로푼도(Profundo)와 공동작성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2022년까지 세계 주요 은행들이 화석연료 산업에 약 3조2000억달러를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금은 대부분 개발도상국의 화석연료 사업에 투입됐다. 보고서는 "개발도상국은 기후위기 최전선에 있는 경우가 많지만 기후행동계획을 수립할 자원이 부족하다"며 "따라서 개발도상국은 탈탄소화와 온난화 대응을 위해 수조달러의 원조가 필요한데 금융회사들은 이런 국가들이 반대 방향으로 나가도록 돕고 있다"고 지적했다.

남미와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에게 화석연료를 탐사하고 채굴하도록 자금을 지원한 곳은 중국공상은행을 비롯해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 체이스 등이다. 이 주요 은행들은 아람코(Aramco)와 엑손(Exxon)같은 글로벌 거대 석유기업들을 통해 자금을 제공했다.

이 은행들은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대규모 산업화 농업에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HSBC은행과 미국 은행들은 ADM, 카길(Cargill), 켐차이나(ChemChina) 등 거대 농업기업에 최소 3700억달러를 대출해주거나 보증해줬다.

문제는 이들이 자금을 지워한 산업화 농업은 환경오염의 온산이라는 점이다. 화학비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오염, 축산으로 인한 메탄 배출, 녹지 개간 등 수많은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산업 농업은 두번째로 지구온난화에 기여한다. 액션에이드 기후정의 담당 테레사 앤더슨(Teresa Anderson) 이사는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금융권의 그린워싱을 잘 보여준다"며 "은행들은 종종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하지만, 화석연료와 산업 농업에 대한 지속적인 자금조달 규모는 놀라울 정도다"고 비판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이 은행들은 앞다퉈 기후공약을 발표했다. 시티은행은 지난해 에너지금융에 대한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2025년까지 농업 대출에 대해서도 비슷한 목표를 설정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HSBC은행도 지난해 12월에 에너지 금융정책을 갱신했다.

당시 지나 바틀렛(Gina Bartlett) HSBC은행 대변인은 "이번 에너지 정책은 HSBC가 더이상 새로운 유전 및 가스전 또는 환경적으로 중요한 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을 위해 새로운 금융 또는 자문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며 "HSBC는 산림 벌채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나아가 산림 벌채에 관련된 고객을 대상으로 한 금융서비스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이 그동안 발표했던 기후공약들은 모두가 공수표였다는 것이 이번 보고서를 통해 들통났다.

게다가 선진국들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개발도상국에 원조한 금액보다 이 은행들이 투자한 금액이 훨씬 많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됐다.

실제로 2016년~2022년까지 세계 주요 은행들은 화석연료와 산업 농업에 연평균 5130억달러씩 투자했다. 반면 선진국들은 매년 평균 222억5000만달러씩 개발도상국에 원조했다. 보고서는 "전세계 선진국들이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에 지원한 금액은 턱없이 작다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녹색투자 연구단체 오일 체인지 인터내셔널(Oil Change International)의 론 스톡맨(Lorne Stockman) 선임연구원은 "이 보고서는 아주 중요하다"며 "많은 화석연료 프로젝트는 금융기관 지원없이는 시작조차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근본적으로 투자 방향을 바꾸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투자 및 개발에 대한 논의는 실패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보고서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계 각국 정부의 재생에너지, 저탄소 재생농업, 빈곤국의 기후적응 계획에 대한 공공보조금 확대, 오염 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줄이기 위한 금융부문 규제강화'를 제시했다. 니란잘리 아메라싱헤(Niranjali Amerasinghe) 액션에이드 전무는 "은행들은 기후파괴에 대한 자금 지원을 즉각 중단하고, 각국 정부는 신속하고 공정한 방식으로 자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정책연구소(Institute for Policy Studies) 바사브 센(Basav Sen) 기후정책 이사는 "부유국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배상금을 지불해야 하는지를 계산할 때 이러한 왜곡된 금융흐름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