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폐건강 치명적...오염규제 강화하라"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5 13:40:00
  • -
  • +
  • 인쇄
유럽 호흡기 전문가들 성명서로 규제촉구
기후변화로 인한 새로운 질환 유발할수도


유럽의 호흡기 전문가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폭염과 변덕스러운 날씨로 인해 호흡기 질환자들의 폐건강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유럽의 대기오염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럽 호흡학회(European Respiratory Society) 전문가들은 유럽 호흡기 저널(European Respiratory Journal)에 게재한 성명서를 통해 유럽연합(EU)이 세계보건기구(WHO)에 맞춰 대기오염 규제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대기오염으로 인해 전세계 사망자는 2019년에만 670만명으로 집계됐다.

현재 유럽연합의 대기오염 기준은 초미세먼지(PM2.5)가 1입방미터(㎥)당 25마이크로그램(㎍), 이산화질소의 경우 1㎥당 40㎍이다. 이를 1㎥당 5㎍, 10㎍으로 강화하자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우리는 환자들의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며 "꽃가루 및 기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증가를 비롯해 산불, 먼지 폭풍, 교통량 증가는 모두 기존의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키거나 새로운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 대표저자 중 1명인 코펜하겐대학(University of Copenhagen) 환경역학과 요바노비치 앤더슨(Zorana Jovanovic Andersen) 교수는 "기후변화는 모든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만, 호흡기 환자가 가장 취약하다"며 "이들은 이미 호흡 곤란을 경험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기후에 훨씬 더 민감한 사람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들의 증상은 더욱 악화될 것이며, 일부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대기오염은 어린이들에게 치명적이다. 어린이 폐는 아직 발달중이고 호흡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또 동일한 시간동안 성인보다 2~3배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면서 기후위기와 대기오염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앤더슨 교수는 "어릴 때 대기오염에 노출되면 나중에 폐쇄성 폐 질환이나 기관지염과 같은 만성 폐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앤더슨 교수는 "우리 모두는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를 마실 권리가 있다"며 "기후변화가 지구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정책 입안자들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최근 기상이변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기후관련 호흡기 질환의 계속 증가하는 미래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같은 전문가들의 주장에 대해 유럽 각국 정부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영국 정부는 "영국 해협을 통과하는 선박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로 인해 WHO 지침에 부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최근 영국 정부는 2040년까지 PM2.5 미세먼지에 대해 1㎥당 10㎍ 이하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

글로벌 항암제 개발기업 'HLB'와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HLB사이언스'가 합병한다.HLB와 HLB사이언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기후/환경

+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美 트럼프 법무부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법무부가 석유화학 대기업에 기후피해를 배상하게 하는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하려는 것으로 드러났다.17일(현지시

강릉 가뭄 '한숨 돌렸다'...'단비' 덕분에 저수율 23.4%까지 회복

한때 11%까지 내려갔던 강릉의 저수율이 지난 수요일 내린 폭우 덕분에 18일 오전 6시 기준 23.4%까지 회복됐다. 아직도 평년 저수율 71.8%에 크게 못미치는

폭염 '조용한 살인자'...유럽과 호주, 온열질환 사망자 급증

북반구와 남반구 할 것 없이 기후변화로 뜨거워진 폭염에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다. 올여름 유럽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 3분의 2는 지구온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