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었다 녹으며 '쩍쩍'...도로·건물 파괴하는 '서리 지진' 피해 커진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5-16 12:11:17
  • -
  • +
  • 인쇄
북반구에서만 나타나는 '서리 지진' 현상
기후변화로 빈도 높아지며 건축물에 피해

북반구에서 주로 발생하는 '서리 지진'이 기후변화로 더 빈번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핀란드 지질조사국(Geological Survey of Finland)의 야르코 오코넨(Jarkko Okkonen) 박사와 오울루대학교(University of Oulu)의 엠마-리이카 코코(Emma-Riikka Kokko) 박사 연구팀은 기후의 급격한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기상 현상 중의 하나가 '서리 지진'이라는 사실을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서리 지진은 토양이나 암석 내부의 물이 얼어 부피가 급격히 팽창하면서 암석 등이 갈라지는 현상으로, 그 모습이 마치 지진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리 지진은 주로 북반구에서 발생하는데 건물과 도로 등에 금이 가거나 심한 경우 붕괴되는 피해를 입힐 수 있다. 

2016년 1월 6일 핀란드 중부 오울루(Oulu)의 북극 이남 지역에 발생한 서리 지진으로 토양과 건물 기초, 도로 등이 파괴됐다. 또 최근 핀란드, 캐나다, 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서리 지진으로 인해 포장도로와 건물이 파손됐다는 보고가 줄줄이 나오고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서리 지진의 개념적 모델은 잘 알려져 있지만 서리 지진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없다"며 "서리 지진은 특별한 전조 증상이 없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예측모델의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매년 적설량과 눈의 녹는 정도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모델은 개발돼 있다. 하지만 온난화가 동토 및 서리 지진같은 현상에 미치는 영향까지 분석할 수 있는 예측모델은 없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서리 지진의 메커니즘과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라고 했다.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얼어붙은 토양, 건물, 주택, 도로에 열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큰 균열이 발생한다. 연구진은 "서리 지진은 이같은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했다. 즉 기후위기로 인한 급격한 기후변화가 서리 지진을 빈번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진들은 서리 지진과 열 스트레스 함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열 스트레스 함수는 열 팽창으로 인해 암석 등이 받는 압력을 측정가능한 함수로 표현한 것이다. 

이후 연구진들은 자체 모델을 사용해 다양한 깊이의 토양에서 눈 깊이, 눈 녹는 속도 및 토양 온도를 계산했으며, 이를 통해 온도가 급격히 감소하면 토양-얼음 혼합물의 인성 및 강도보다 높은 열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연구진들은 "서리 지진의 원인은 기온이 -12℃~-29℃로 급격히 떨어지면서 얼어붙은 토양과 도로에 열 스트레스가 발생해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오코넨 박사는 총회에서 "많은 연구들은 지구온난화가 북극에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북극은 지구상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빠르게 온난화되고 있다고 말한다"며 "그러나 지구의 고르지 않은 온난화, 특히 북극과 북극 이남 환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논문은 지난달 열린 2023년 유럽지구과학연합 총회(2023 European Geosciences Union General Assembly)에서 발표됐으며, 유럽지구과학연합 총회 홈페이지에 게재돼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기후/환경

+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

주거지·학교 인근서 유해가스 '뿜뿜'...불법배출 업체 10곳 적발

주거지와 학교 인근에서 유해가스를 불법 배출한 업체들이 적발됐다.경기도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도장·인쇄업체 210개를 대상으로 유

올 7월 한반도 평균기온 27.1℃...'역대 두번째로 더웠다'

우리나라의 올 7월은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더웠다.5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7.1℃로 나타났다. '20세기 최악의 더위'가 나타난

[날씨] '폭염과 폭우' 급변하는 날씨...6일 120㎜ 폭우 예보

5일 낮기온이 36℃까지 치솟는 폭염이었다가 수요일인 6일은 최대 120㎜의 폭우가 퍼붓는 종잡을 수 없는 날씨를 보이겠다.고온다습한 남풍의 유입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