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 3억톤 쏟아지는 합성의류...재활용 가능한 재질 있을까?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4 14:20:21
  • -
  • +
  • 인쇄
전세계 의류폐기물 재활용률 1%도 안돼
목재 등 천연유래 소재도 독성물질 '범벅'


매년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합성섬유 의류는 3억톤에 달한다. 그에 비해 전체 의류폐기물 중 재활용 비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특히 2가지 이상의 다른 섬유가 섞인 혼방재질은 재활용이 더욱 어렵다.

의류·패션산업의 환경문제가 두드러지면서 소비자의 관심 또한 의류의 재활용 및 지속가능성에 집중되고 있지만 의류라벨에 표시된 직물이 무엇인지, 재활용이 가능한지 알기란 쉽지 않다. 양모나 면과 같은 천연섬유는 알아보기 쉽지만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같은 합성섬유는 구분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합성섬유는 크게 화석연료 기반 섬유와 화학처리된 셀룰로오스(식물성분) 섬유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섬유재질은 무엇이며, 이런 재질의 의류를 구매할 때 어떤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지 짚어봤다.


◇ '화학섬유'···폴리에스테르·나일론



폴리에스테르는 전체 섬유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섬유다. 문제는 이 원료가 화석연료에서 뽑아낸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다.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원사로 성형한 다음 직물로 직조해 만들어진다. 플라스틱 특성상 생분해되지 않고 의류 수명이 다할 때까지 미세플라스틱을 계속해서 배출한다. 배출된 미세플라스틱은 토지와 해양 등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페트병을 재활용해 폴리에스테르를 만드는 것도 능사는 아니다. 기존보다 탄소배출량은 적지만 플라스틱병을 새 플라스틱병으로 바꾸는 방법보다 효율이 떨어지고 현 방법상 폴리에스테르로 바꾼 후에는 더이상 재활용이 안되기 때문이다.

조지아 맥코킬(Georgia McCorkill) 호주 로열멜버른공과대학(RMIT) 패션강사는 환경과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보면 페트의 원료가 화석연료라는 점부터 이미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를 직물로 재생산하는 순환경제가 가능하겠지만 이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설계와 생산 및 폐기물 회수체계가 없다는 것이다.

또 폴리에스테르는 소재 내구성이 뛰어나 활동복이나 운동복에 쓰이기 좋지만 악취나 얼룩 제거가 되지 않아 오래 입기 힘들다고 맥코킬 강사는 설명했다.

폴리에스테르와 달리 재활용 나일론은 다른 섬유와 혼합되지 않은 이상 한번 이상 재사용이 가능하다. 나일론은 폴리에스테르와 마찬가지로 화석연료에서 파생된 플라스틱이지만 생산비용이 더 높아 사용 비중은 비교적 더 낮다. 나일론은 의류섬유시장의 약 11%를 차지하며 폴리에스테르보다 신축성이 좋고 튼튼해 수영복과 요가복에 많이 쓰인다.

나일론 역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생분해되지 않으며 제조과정에서 아산화질소를 배출해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가 있다. 캐롤라인 포이너(Caroline Poiner) 패션커뮤니티 클로즈앤코(Cloth & Co) 설립자는 낚싯줄 등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드는 재생나일론 '에코닐(Econyl)'과 같이 재활용 대안을 찾을 것을 제안했다.

일명 '스판덱스' '라이크라'라고도 불리는 엘라스테인도 의류라벨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화석연료 기반 섬유다. 보통 다른 섬유와 혼합해 신축성을 늘리는 데 사용된다. 이 탄력성은 고무와 유사하며 최대 5배까지 늘릴 수 있다. 그러나 나무에서 추출하는 천연고무와 달리, 엘라스테인은 폴리우레탄에서 추출되므로 생분해되지 않는다. 엘라스테인의 신축성과 회복력은 운동복과 속옷에 매우 유용하지만 열이나 큰 압력에 노출되면 탄력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 화학성분 기반의 '셀룰로오스 섬유'



'비스코스 레이온'은 셀룰로오스로 제조된 섬유를 포괄하는 용어로, 레이온과 비스코스, 모달, 리오셀(라이오셀), 아세테이트, 대나무 섬유, 큐프라 등 광범위한 종류의 섬유가 한 범주로 묶여있어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가운데 면 폐기물로 만들어진 큐프라를 제외하고 모두 목재 펄프로 만들어진다.

포이너는 "대나무 섬유 등이 친환경 인증으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환경과 근로자복지 문제에 있어 합성섬유와 다를 바 없다"고 경고했다. 목재가 원료다보니 생산과정에서 산림벌채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환경단체 캐노피(Canopy)는 매년 비스코스 생산에 쓰이는 나무 2억그루 중 적어도 절반이 고대림 또는 멸종위기에 처한 숲에서 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가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공급됐는지 알아보려면 FSC 또는 PEFC 인증을 확인해야 한다.

게다가 나무나 목화 폐기물을 직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유독 화학물질이 들어간다. 포이너는 "일부 제조업체가 보건안전규정을 피할 수 있는 공장부지를 고른다"고 지적했다.

독성용제를 회수·재사용해 제조하는 섬유는 이같은 유해성이 낮다. 대표적으로 '에코베로(EcoVero)'와 '텐셀(Tencel)'이 있다. 나무 대신 농업, 식품 또는 의류 폐기물을 원료로 하는 새로운 유형의 셀룰로오스 섬유도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 널리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