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신규 일자리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주요 부품사업과 미래먹거리로 자리잡은 '바이오' 분야 그리고 핵심기술로 급부상한 '인공지능(AI)' 분야 등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19개 계열사는 우수인재 확보를 위한 하반기 공채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1957년 공채제도를 도입한 이래 1993년부터 국내 대기업 최초로 대졸여성 신입사원을 공채하고, 1995년부터 신입 자격요건에서 학력을 제외하는 등 파격적인 인재채용 방식을 선도해왔다.
특히 청년 고용확대를 위해 △채용연계형 인턴제도 △기술인재 채용 등 다양한 방식을 병행하고 있다. 청년들이 취업에 필요한 실무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대학생 인턴십' 기회도 대폭 늘리고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직무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우수인력을 채용하겠다는 전략이다.
마이스터고 졸업생과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자 등 기술인재 채용도 앞장서고 있다. 2007년부터 전국기능경기대회 및 국제기능올림픽을 후원하는 것도 그 일환이다. 실제로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자 가운데 1600명이 삼성에 특별채용된 바 있다.
삼성은 직접 채용 외에도 사회적 난제인 '청년실업 문제'를 해소하자는 차원에서 다양한 '청년교육 사회공헌사업'을 펼치고 있다. 삼성의 청소년 교육·상생 협력 관련 CSR 프로그램은 직·간접적으로 8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게 삼성의 설명이다.
대표적으로 삼성청년SW·AI아카데미(SSAFY)를 들 수 있다. SSAFY는 미취업 청년들에게 양질의 소프트웨어(SW)·AI 전문교육을 실시해 취업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전국 5개 캠퍼스에서 2018년부터 현재까지 약 8000명이 배출됐고, 이들은 2000여개 기업에 취업했다. 취업률 85%를 자랑한다. 삼성전자는 "SSAFY는 올해부터 교육의 60%를 AI 관련 과정으로 확대한다"며 "마이스터고 졸업생도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사회공헌활동 '희망디딤돌2.0'을 통해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한 직무교육도 돕고 있다. 이들이 기술·기능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전자/IT제조 △선박제조 △공조냉동 △제과/제빵 △네일아트 △애견미용 △SW 개발 △광고/홍보 △중장비운전 △반도체배관 등 10개 직무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삼성전자는 청년창업자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C랩 아웃사이드'도 운영하고 있다. C랩 아웃사이드는 창업 아이디어는 있지만 자금이나 사업 노하우가 부족한 삼성 외부의 유망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연간 30개 스타트업을 선발해 최대 1억원의 사업지원금을 지원하고 업무공간과 컨설팅서비스도 제공한다. 지금까지 540개 스타트업이 이 지원을 받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