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가 기가 막혀...中 인플루언서 '김치는 전통음식' 또 억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7 12:11:29
  • -
  • +
  • 인쇄
▲조회수 3000만회가 넘은 김치관련 릴스 영상(좌)과 김치 논란을 일으킨 중국 유튜버 리쯔치(우) (사진=서경덕)

중국 인플루언서들이 농촌생활을 배경으로 제작한 영상에서 "김치는 중국음식"이라는 억지 주장을 또 펼치고 있다.

7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에 따르면 이같은 주장을 담은 인스타그램 릴스 영상 조회수가 3000만회를 넘었다. 3편으로 나눠 올린 영상에는 농촌생활을 하고 있는 한 중국 남성이 김치를 직접 담가먹는 과정을 담았다.

그런데 이 영상에 'Chineseculture'(중국문화), 'Chinesecuisine'(전통중국요리)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마치 김치가 중국문화인양 홍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치를 둘러싼 중국 인플루언서의 억지주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21년에는 당시 구독자 1400만여명인 중국 유튜버 리쯔치가 김치를 중국 전통음식이라고 주장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이 유튜버 역시 농촌생활을 배경으로 배추를 소금에 절이고, 배추에 고춧가루 등으로 만든 빨간 양념을 묻혀 김치를 담그는 모습을 영상에 올렸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중국 인플루언서들이 농촌생활을 이용해 김치를 홍보하는 이유는 오래전부터 중국 시골에서 만들어 먹었던 음식"이라는 점을 대외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인들이 한국 문화를 주목하고 즐기다보니 중국인들의 열등감이 날로 심해져 가고 있다"며 "우리는 이를 역이용해 더 세련된 방식으로 한국문화를 전세계에 널리 알려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치'가 우리나라 고유음식이라는 것은 오랜 문헌에서 이미 확인된 사실이다. 고려말인 1400년대에 만들어진 조리서 '산가요록'(山家要錄)에서 김치가 언급돼 있다.

'산가요록'에서는 동치미와 나박김치와 같은 물김치류나 날 채소에 양념을 버무려서 2차 발효를 유도하는 '즙지히'라는 김치류와 소금을 넣지 않은 무염김치도 소개돼 있다. 피클에 가까운 염장채소인 중국의 '파오차이'(paocai)와 조리과정이 확연히 다르다.

다만 고려시대에는 김치에 고춧가루는 사용하지 않았다. 고춧가루는 임진왜란 시기에 국내에 들어왔다는 게 정설이다. 배추로 김치를 담그지도 않았다. 오늘날과 같은 둥그런 배추가 국내 들어온 시기는 1800년대라고 한다. 통배추가 국내에서 본격 재배되면서 오늘날의 김치가 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환경

+

[날씨] 겨울 부르는 '가을비'...토요일까지 매일 내린다

15일 오후부터 다시 흐려지고 비가 내리겠다. 동해안과 전남 남서부, 제주 동부 등에서는 이날 오전부터 비가 약하게 내리기 시작했다. 이번 비는 16일

등산화·등산복 미세플라스틱 '뿜뿜'...고스란히 자연에 유출

등산화와 등산복 등 아웃도어 제품들이 청정지대인 산악과 호수지역을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13일(현지시간) 미국 세크리드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