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혈액속에 미세플라스틱 있다"...처음으로 확인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25 11:50:40
  • -
  • +
  • 인쇄
혈액샘플 80%에서 PET·PE·PS 재질 검출
"체내축적 여부·장기질환 영향 연구해야"

사람의 혈액 속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처음 검출되면서 미세플라스틱이 혈류를 타고 인체 곳곳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의 딕 베타크(Dick Vethaak) 교수 연구팀은 익명의 현혈 기증자 22명에게 받은 혈액샘플을 조사한 결과 80%에 해당하는 17개의 혈액샘플에서 페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재질의 미세플라스틱을 발견했다.

통상 '직경 5mm 이하의 플라스틱 입자'로 정의되는 미세플라스틱은 에베레스트산 꼭대기부터 마리아나 해구 심해 끝자락까지 전세계를 뒤덮고 있다. 이처럼 사람들이 계속해서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고 있다는 뚜렷한 정황증거와 연구결과가 이어지고 있지만, 인체실험에 대한 윤리문제, 체내에 머무르는 기간 파악의 어려움 등 여러 제약으로 미세플라스틱이 정확히 인체에 어떤 증상을 유발하는지 명확하게 규명된 바가 없다.

하지만 이미 동물실험을 통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들이 보고 되고 있고, 최근 실험실 조건에서 인간의 세포에 산화 스트레스, 세포벽 손상 등 악영향을 끼친다거나, 미세먼지와 함께 미세플라스틱이 기관지에 흡입되면서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점차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게다가 이번 연구로 미세플라스틱이 혈류를 타고 체내를 돌아다니면서 각종 장기를 비롯한 인체 곳곳에 축적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이번 연구논문의 공동저자인 베타크 교수는 "아직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가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혈액샘플의 수와 검사할 플라스틱 재질의 종류를 늘려 보강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체내에 미세플라스틱이 있다는 것은 확실하고, 따라서 건강에 대한 우려는 충분히 합리적이다"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문제는 미세플라스틱이 실제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다. 체내에 축적이 되는가? 혈액뇌장벽을 통과해 뇌로 침투하는 등 주요장기로 옮겨갈 가능성이 있는가? 특정 질환을 유발할만큼의 양이 유입되는가? 이같은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후속 연구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네덜란드 국립보건연구개발기구와 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사회적 기업 '커먼시즈'(Common Seas)의 후원으로 진행됐다. 커먼시즈의 창립자 조 로일(Jo Royle)은 "현재 추세면 플라스틱 생산량은 2040년 2배 가까이 늘 것"이라며 "우리는 플라스틱이 우리 몸에 무슨 작용을 하는지 알 권리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플라스틱 생산량이 2016년 1억8800만톤에 달했고, 2040년에 이르면 3억8000만톤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플라스틱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될 것을 우려한 커먼시즈는 환경단체, 과학자, 영국 하원의원을 비롯한 80여개의 비정부기구(NGO)와 연합해 영국 정부에 성명을 전달한 바 있다. 이들은 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영국 정부가 1500만파운드(약 240억원)를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해당 연구논문은 24일(현지시간) 국제 환경저널 '인바이런먼트 인터내셔널'(Environment International)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