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스요금 아끼면 '탄소포인트' 지급...올해 달라지는 환경제도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1-03 18:11:17
  • -
  • +
  • 인쇄
단독주택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의무화
재활용 안되는 포장재 '별도마크' 표기

올해부터 단독주택에서도 투명페트병을 분리 배출해야 한다. 또 올해부터 생활속 탄소감축을 위해 '탄소중립실천 포인트제'가 시행된다. 재활용이 안되는 포장재에는 '별도 마크'를 표기하고 이는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한다. 전기자동차 보조금이 줄고, 받을 수 있는 차량 가격도 5500만원으로 낮아진다.

2022년부터 바뀌는 환경관련 제도, 특히 일상생활과 밀접한 제도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봤다.

◇ 단독주택 투명페트병 별도배출제 시행

3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고품질 재활용품 생산 확대 및 순환경제 전환 가속화를 위해, 단독주택 지역에서도 투명페트병을 반드시 분리배출해야 한다.

아파트의 경우 2020년 12월부터 투명페트병 별도분리 배출정책이 시행됐지만 단독주택은 지난해 12월부터 시행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단독주택에서 투명페트병 배출시 일반 플라스틱류와 함께 배출했다. 하지만 이제는 단독주택에서도 투명페트병을 일반 플라스틱류와 구분해야 한다.

문전배출의 경우 지역별로 정해진 요일에 투명페트병을 별도로 분리해 내놓으면 된다. 상시 분리배출할 수 있는 거점배출의 경우 재활용동네마당 등 수거거점의 투명페트병 수거함에 넣어야 한다.

투명페트병을 분리배출할 때는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부착상표(라벨) 등을 제거한 후 찌그러트려서 뚜껑을 닫아 배출해야 한다. 음료나 생수병에 부착된 라벨은 주로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만들어져 페트(PET)와 섞이면 재활용 품질을 떨어뜨린다. 페트병으로 원료생산할 때 뚜껑과 고리가 분리되기 때문에 뚜껑은 그대로 닫고 고리도 그대로 둔 채 배출해도 된다.

투명페트병이 따로 수거되면 선별과정이 훨씬 수월해진다. 주로 음료나 생수병에 이용되는 투명 페트병의 경우 오염도가 낮아 세척과정도 줄일 수 있다. 국내에서 투명페트병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면 티셔츠나 가방, 수영복 등을 만드는 재생원료 공급도 원활해질 수 있다.

◇ 탄소중립실천 포인트제 시행

1일부터 전국민을 대상으로 '탄소중립실천 포인트제'가 시행됐다. 탄소포인트제는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하는 개인에게 주어지는 인센티브다.

현재 가정과 상업시설, 아파트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나 상수도, 도시가스를 과거 1~2년간 월별 평균 사용량과 비교해 절감 비율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지급한다. 쌓인 탄소포인트로 나중에 상품권이나 현금, 종량제 봉투, 지방세 납부, 교통카드 등으로 교환할 수 있다.

개인의 경우 가스 감축률에 따라 연 2회 탄소포인트를 지급한다. 탄소포인트제 참여를 위해서는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계량기가 필요하다. 신청은 인터넷 또는 시·군·구 담당 부서에 방문해 할 수 있다.

환경부는 '종이영수증 없는 점포' 협약을 맺은 유통업체와 연계해 전자영수증 이용자에게도 월별 포인트를 제공한다. 세제·샴푸 등을 매장에서 리필해서 쓰는 '리필 스테이션' 이용하면 영수증에 표기된 횟수에 따라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추후 전기차 렌트, 다회용기 이용 구매 등 다양한 실천 활동으로의 경제적 인센티브 확대를 검토해나갈 계획이다. 

◇재활용 안되는 포장재, 별도표기 신설·적용

올 1월 1일부터 생산되는 포장재 가운데 재활용 안되는 포장재는 '별도 마크'를 표시해야 하고, 버릴 때는 종량제봉투에 넣어야 한다. 과거에는 실제 재활용 가능 여부와 관계없이 재활용의무대상 포장재에 주요 재질별 분리배출 마크를 표시하고 재질별 분리배출하도록 안내했다.

멸균팩 등 재활용이 어려운 포장재를 별도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지난해 생산된 기존 포장재 제품은 포장재 재고 소진 등을 위해 별도표기 적용을 유예했다. 그러나 2024년 1월 1일부터 모든 포장재에 이같은 표기를 표시해야 한다.

◇ 전기차 보조금 줄어든다

전기차에 대한 국고 보조금이 최대 800만원에서 700만원으로 줄어든다.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의 상한 가격도 6000만원에서 5500만원으로 하향 조정된다. 전기차 충전 이용요금 특례 제도의 일몰로 내년부터는 충전 기본요금의 25%, 이용 요금의 10%를 할인해주던 혜택도 없어진다.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및 취득세 감면이 연장된다. 전기‧수소차에 대한 취득세 감면은 3년 연장되고 공공기관의 무공해차 의무구매비율도 강화된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전기‧수소차에 대해 한도 140만원인 취득세 감면이 2024년 연말까지 연장되고, 100만원 한도의 하이브리드차 개별소비세 및 취득세 감면이 각각 1년 연장된다.

경차에 대해서는 취득세 감면한도가 기존 50만원에서 75만원으로 확대된다. 경차 연료에 대한 개별소비세 환급도 2년 연장된다.

이와 함께 렌터카, 대기업, 버스·택시·화물 등 민간의 차량수용자가 신차를 구입 또는 임차 시 일정비율 이상을 친환경차로 의무구매하도록 하는 '친환경차 구매목표제'가 도입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무늬만 친환경?...탄소배출량이 내연기관차급

저탄소 친환경 자동차로 규정되고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가 실제로는 휘발유 내연기관 자동차와 맞먹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

KT 불법 기지국 4개→20개로...소액결제 피해자 더 늘었다

KT가 자사 통신망에 접속해 가입자 불법결제에 이용한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이 20개였던 것으로 전수조사 결과 드러났다. 당초 알려진 바로는 불

현대차, 인니에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 개소...수거부터 교육까지

현대자동차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생태계 조성 일환으로 인도네시아에 지역주민 주도형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을 개소했다. 16일(현지시간) 인도네

삼성전자-삼성물산, 혈액으로 암 조기진단 美기업에 1.1억불 투자

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증상이 없는 사람의 혈액 채취만으로 암을 조기 진단하는 미국 생명공학 기업 '그레일(Grail)'에 16일(현지시간) 1억1000만달러를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기후/환경

+

"70억달러 태양광 보조금 내놔!"...美 22개주 연방정부 대상 소송

트럼프 행정부가 70억달러 규모의 태양광발전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자, 미국 22개 주에서 이를 막기 위한 소송을 제기했다.16일(현지시간) 롭 본타 미국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탄소감축과 자연회복 동시 추진...UNEP, 개도국에 1억불 투입

유엔환경계획(UNEP)이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한 1억달러 규모의 국제 프로그램을 출범했다.16일(현지시

[주말날씨] 비온 후 '쌀쌀'...서울 기온 5℃까지 '뚝'

이번 주말에 또 비소식이다. 이 비가 그치고 나면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추워지니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비는 17일 저녁 서쪽부터 내리기 시작해 밤사

기후변화에 위력 커진 태풍...알래스카 마을 휩쓸었다

미국 알래스카 해안이 태풍 할롱에 초토화됐다. 폭풍으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1500명 이상의 마을 주민이 이재민이 됐다.15일(현지시간) 알

올여름 52년만에 제일 더웠다...온열질환자 20% '껑충'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던 올여름 온열질환자 수가 작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9월 2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