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제로웨이스트 실천해볼까?"...궁금해서 달려간 '제로마켓' 1호점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1-12-24 17:53:31
  • -
  • +
  • 인쇄
샴푸와 린스, 칫솔 등 다양한 생활용품 판매
대형마트 1층 매장과 뚝 떨어진 동선에 위치
▲[현장왓썹] 궁금해서 찾아간 '제로마켓' 1호점..."앗, 용기가 필요해"


지난 22일 오전에 찾아간 서울시 '제로마켓' 1호점 매장은 한산했다. 2층 가전매장 옆에 5평 남짓한 공간에 꾸려져 있는 매장은 1층의 널직널직한 홈플러스 월드컵점 매장과 비교되면서 약간 옹색한 느낌이었다. 가전제품이나 의류 상점을 방문하지 않는 이상 이곳에 제로마켓에 있는지조차 알 수 없겠다 싶었다.

서울시는 대형 유통업체들과 손잡고 유동인구가 많고 접근성·편의성이 뛰어난 백화점·마트 등에 '제로마켓'을 마련하고 6개월동안 시범운영한다. 서울 마포구 홈플러스 월드컵점에 입점해있는 이 제로마켓이 지난 21일 문을 연 1호점이다. 서울시는 홈플러스 월드컵점을 시작으로, 2022년 1월까지 NC백화점 강서점, 지에스프레시(GS Fresh) 고덕그라시움점 등 10곳을 순차적으로 개장할 계획이다. 

서울시가 제로마켓을 여는 이유는 분명하다.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고 있는 시민들은 친환경 제품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해주고,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시민들에게는 한번쯤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플라스틱만 줄여도 쓰레기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통계청 생활폐기물 자료에 의하면 2019년 폐플라스틱 배출량은 하루 7430톤에 이른다. 

제로마켓 1호점을 맡고 있는 김도희 사장은 "대형마트에 제로마켓에 입점해 있으면 장을 보러 오셨다가 들를 수 있어서 접근성이 아주 좋다고 생각한다"면서 "다양한 연령과 성별의 사람들이 제로웨이스트를 접할 수 있을 것같다"고 기대했다. 김 사장은 이전에 알맹상점, 숍인숍 등 여러 제로마켓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 

매장 크기는 아담했지만 친환경 생활용품들은 있을 게 다 있었다. 코코넛 껍질로 만든 세탁솔, 대나무 칫솔, 고체형 치약, 친환경 수세미, 고체형 샴푸, 스테인리스 빨대 등. 생전 처음보는 친환경 제품들도 많았다. 특히 고체형 샴푸에 눈이 갔다. 다시마향, 버터향 등 대략 10종은 돼 보였다. 고체형 샴푸 종류가 이렇게 많다는 것에 놀랐다. 샴푸바뿐 아니라 린스바, 고체형 바디숍도 팔았다. 

양옆으로 진열된 친환경 제품들을 지나 뒷쪽으로 가니 리필스테이션이 마련돼 있었다. 리필스테이션에는 세탁세제와 주방세제 2종을 다회용기에 담아 필요한 만큼 구매할 수 있다. 주방세제의 경우, 하나는 무향이고 다른 하나는 꽃 향이다. 소비자들은 집에 있는 용기를 가져와 원하는 제품을 1g 단위로 구매할 수 있다. 1g당 11원인 주방세제를 500ml 페트병에 담으면 5500원이다. 제로마켓 한켠엔 용기를 챙겨오지 못한 소비자를 위한 유리용기도 비치돼 있었다.

김도희 사장은 "소비자가 직접 가져온 용기에 세제를 담지 않고 제로마켓에서 제공하는 유리병에 담으면 어떤 세제인지 헷갈리기도 하고 손님이 모르고 마시는 일도 있다"면서 "그래서 집에서 다 쓴 세제 용기를 가져오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매장에서 제공하는 유리병은 도라지 꿀배 용기 등 음료를 담았던 유리용기였다.

제로마켓을 둘러보니 몇가지가 아쉬었다. 우선 너무 구석진 곳에 위치해 있어서 사람들 눈에 띄기가 쉽지 않았다. 이따금 멈춰 서서 표지판을 읽는 손님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슬쩍 눈길만 주고 지나쳤다. 천장에 달린 '제로마켓' 간판도 잘 보이지 않았고, 바깥에서 보면 뭐하는 매장인지 알 수가 없다.

솔직히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는 사람이 아니면 굳이 매장 2층으로 올라와 한참 걸어가야 하는 곳까지 와서 이용할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매장 접근성이 너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홈플러스 관계자는 "아직 개점한지 몇일밖에 안됐고 언론과 SNS를 통해 꾸준히 홍보한다면 유의미한 결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로마켓 매장은 서울시가 지원하는 6개월간의 시범운영이 끝나면 자율운영하게 된다. 이에 대해 김도희 사장은 "홈플러스 월드컵점의 제로마켓이 6개월 동안 홍보가 잘 돼서 소비자들이 추후에도 많이 이용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 홈플러스 월드컵점에 생긴 '제로마켓' 1호점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해킹사고' 부실 대응 SK텔레콤..."ESG 등급 하락 불가피"

SK텔레콤 해킹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유출되면서 SKT의 ESG평가에서 사회(S)부문과 종합부문 등급이 1등급씩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객

KB국민은행, 올해 지역에 '작은 도서관' 9곳 더 늘린다

KB국민은행이 올해까지 134개의 'KB작은도서관'을 조성해 미래세대를 위한 독서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KB국민은행은 지난 14일에는 울

LG유플러스, CDP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LG유플러스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호텔에서 열린 '2024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코리아 어워즈'에서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CDP Climate

11번가 사령탑 교체...신임 대표로 박현수 CBO 선임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가 지난 29일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신임 대표이사로 박현수 11번가 CBO(최고사업책임)를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안정은 전임 대

경기도 푸드뱅크, 세제와 휴지 등 '생활용품'도 기부받는다

경기도가 푸드뱅크를 통해 식품뿐만 아니라 세제와 휴지 등 다양한 생활용품도 기부받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푸드뱅크·마켓은 취약계층에 기부

카카오모빌리티상생재단 '택시기사 의료비 안심지원' 본격 시동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모빌리티상생재단이 사회복지법인 아이들과미래재단, CHA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과 손잡고 '택시기사 의료비 안심지원 사

기후/환경

+

기후위기로 야외 음악공연도 '위기'...티켓 판매부진 현상

호주에서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RMIT)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발간한 '뮤

"해운탄소세 피하려면 '전기추진선'으로 교체해야"

탄소배출이 많은 선박을 전기추진선으로 대체하고 녹색해운항로를 개척하면 해운부문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운은 전

기후재해 보상은 왜 제한?...손보사 車보험약관 공정위 '심판대'

기후위기로 올여름도 무더위와 수해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 피해는 보상하지 않는 보험약관의 불공정 조항을 개정해

대구 산불 이틀째 진화율 82%...주불 아직도 못잡아

지난 28일 발생해 이틀째 번지고 있는 대구 함지산 산불이 아직도 주불을 잡지 못하고 있다.산림 당국에 따르면 29일 오전 8시 기준 대구시 북구 노곡&mid

트럼프 '해저광물' 개발규제 완화에..."생태계에 치명적" 비판

미국이 해저 광물 개발을 장려하기로 한 결정에 "해양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철강 탈탄소없이는 탄소중립 없다...철강도 녹색전환해야"

철강산업의 탄소중립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가올 새정부는 저탄소 철강 생산설비 비용의 30% 이상을 지원하는 정책 도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