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불러온 의료혁신...방사선 걱정없이 CT검사 가능

박유민 기자 / 기사승인 : 2021-02-03 15:07:28
  • -
  • +
  • 인쇄
클라리파이의 'ClariCT.AI' 기술, CT 방사선 위험도 크게 낮춰
방사선 염려없이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바로 인공지능(AI) 의료영상 솔루션 기업 클라리파이가 개발한 'ClariCT.AI' 제품이 초저선량 CT의 임상적 효과를 입증했다.

초저선량 CT는 폐검진용 저선량 CT보다 방사선량을 10분의 1 수준으로 낮춰 촬영한 것이다. 이는 우리가 흔히 결핵검사를 위해 촬영하는 흉부 엑스레이 검사를 받을 때 나오는 방사선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클라리파이의 'ClariCT.AI' 제품은 방사선을 낮춰도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서울대병원에서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클라리파이의 인공지능 제품 'ClariCT.AI'와 다른 CT 제조사의 인공지능 제품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ClariCT.AI'에서 방출되는 방사선량을 저선량 CT의 10분의 1 수준으로 낮췄음에도 영상의학과 전문의로부터 최고 수준의 화질 만족도를 받았다. 클라리파이는 "이번 임상연구로 방사선 염려없이 CT 검사를 받는 시대를 열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클라리파이의 기술 핵심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CT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 기술을 활용하면 초저선량으로도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연구결과는 유럽 방사선학회 공식저널인 '유러피안 레디올로'(European Radiology)에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초저선량 흉부 CT의 화질: 제조사 종속 기술에 대비 독자적 기술의 우수 가능성'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 논문에서 클라리파이 제품은 선명도 면에서 CT 제조사의 최신 인공지능 CT 기술보다 더 뛰어나며, 화질 왜곡도 감소시켰다고 보고했다.

세계적으로 저선량 CT 폐암 검진이 확대 시행되는 흐름에서 저선량 CT임에도 기존 제품은 방사선량에 의한 암 발병 위험을 무시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클라리파이의 초저선량 CT기술은 폐암 검진의 방사선 우려 문제를 줄일 수 있게 됐다는 평가다.

연구를 주도한 구진모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방사선 위해를 낮출 수 있는 CT 검사는 전세계 영상의학자들의 숙원이자, 세계 보건 의료계의 관심사"라며 "CT 탄생 후 반세기가 지났지만, 방사선량과 진단 화질간 존재하는 대립 관계를 풀지 못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는데, AI 기술이 문제의 해결책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였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클라리파이 기술은 어떤 CT 장비에도 적용될 수 있는 독자적 기술이기 때문에 방사선 저감화의 혜택을 널리 보급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박현숙 클라리파이 공동대표는 "AI 솔루션 개발에 전념해온 클라리파이의 노력이 임상 현장에서 입증돼 기쁘다"며 "CT 방사선 안전의 최전선을 개척하는 회사로서, 추가 연구를 통해 방사선 저감의 한계를 더 낮춰 환자 안전과 국민 건강 향상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클라리파이의 'ClariCT.AI' 제품은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통합인증(CE) 및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으며 제품의 핵심기술은 영상은 최근 미국 특허로 등록된 바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