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중에 파는 무선청소기 가운데 로보락·샤오미 제품의 흡입력은 삼성·LG 제품의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과 무선청소기 10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3개 제품만 표시된 흡입력 수치를 충족했다고 18일 밝혔다.
소비자원은 국제표준에 따라 최대흡입력을 와트(W)로 측정한 결과, 와트(W) 단위로 흡입력을 표시한 삼성전자·LG전자, 에어와트(AW) 단위로 흡입력을 표시한 다이슨 등 3개 제품의 실제 최대흡입력은 280W 이상으로 표시된 수치(280)를 충족했다.
반면 드리미 제품은 표시된 흡입력 수치(150) 대비 80%(121) 수준이었다. 아이닉· 아이룸·샤오미·디베아·로보락·틴도우 등 6개 제품의 최대흡입력은 58~160W인데, 실제 흡입력과 관계가 없는 '파스칼(Pa)' 단위의 진공도 값을 흡입력인 것처럼 광고하고 있었다.
'파스칼'로 표기하면 수치가 1만8000~4만8000Pa 범위까지 뛰어, 소비자로 하여금 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오인하게 만드는 것이다.
삼성전자·LG전자 등 2개 제품은 표시 단위로 국제표준(IEC) 흡입력 단위인 와트(W)를, 다이슨·드리미 등 2개 제품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표준에서 통용되는 단위인 에어와트(AW)를 사용하고 있었다.
반면 아이닉·아이룸·샤오미·디베아·로보락·틴도우 등 6개 제품은 파스칼을 최대흡입력으로 표시·광고하고 있었다. 그러나 파스칼은 제품 작동 중 내부의 기압 상태인 '진공도'를 나타내는 단위다.
소비자원은 국가표준(KS)으로 관리되는 유선청소기와 달리, 무선청소기는 흡입력 관련 기준이 없고 제조사마다 흡입력 표시 단위가 달라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무선청소기의 흡입력을 소비자가 통일된 단위(W)로 확인·비교할 수 있도록 내년 초까지 국제표준(IEC)이 반영된 국가표준(KS)의 제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는 무선청소기 국가표준에 규정될 예정인 청소성능·소음·먼지 재방출량 등에 관한 시험 설비를 구축하고, 세부적인 시험방법 개발을 통해 제도적 실효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소비자원은 무선청소기 10개 제조·수입 업체에 실제 최대흡입력 시험결과와 국가표준 마련 동향을 공유하고, 8개 수입 업체를 대상으로 흡입력 수치·단위 표시의 선제적인 개선을 권고했다. 아울러 한국에너지공단에 무선청소기의 효율관리기자재 대상 품목(에너지소비효율등급·청소성능 등 의무 표시) 지정 검토를 요청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