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년간 조용하던 러 캄차카 화산 분화…7.0 강진의 영향?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4 16:41:38
  • -
  • +
  • 인쇄

러시아 극동 캄차카반도에서 규모 7.0 강진이 발생한 직후 600년동안 잠들어 있던 화산이 분화했다.
 
4일(현지시간) 새벽, 캄차카 크라셰닌니코프화산에서 화산재 기둥이 최대 6km 높이까지 치솟았다. 러시아 비상사태부는 "화산재는 태평양 방향으로 퍼졌으며, 인근 거주 지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화산이 위치한 크로놋스키 자연보호구 관리소 측은 "새벽 6시쯤 분화가 시작돼 직원들을 긴급 대피시켰다"고 했다.

크라세닌니코프화산의 분화는 공식적으로 기록된 첫 사례다. 러시아 화산분화대응팀 책임자 올가 기리나는 국영 RIA통신에 "크라셰닌니코프화산의 역사적으로 확인된 첫 분화이며, 마지막 용암 분출은 1463년 전후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분화 직전에는 인근 쿠릴열도 해역에서 규모 7.0 지진이 발생했고, 러시아 당국은 일시적으로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가 해제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번 화산의 분화가 강진과 강력하게 연관돼 있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기리나는 "며칠 전 발생한 8.8 강진과 이번 분화가 연관돼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지진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칠레, 하와이, 일본 등지에 쓰나미 경보를 유발한 초강진이었다.

캘리포니아대 리버사이드 캠퍼스 지진학자 아비짓 고시는 "화산과 지진이 시간적·공간적으로 밀접하게 연속돼 발생한 것은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라며 "지구 지질계의 복잡하고 연결된 특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분화에 앞서 캄차카의 가장 활발한 화산 중 하나인 클류체프스코이화산도 지진 발생 직후 활동을 시작했다. 캄차카반도에는 29개의 활화산이 존재하며, 매년 수 차례 분화가 발생해 북태평양 항공 운항에 영향을 준다.

캄차카 비상사태부는 "이번 화산에 오렌지색 항공 코드가 부여됐다"며 항공기 운항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러시아 당국은 현재 "화산 활동이 다소 줄었지만, 중간 수준의 폭발성 활동은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