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흑연에 93.5% 관세 결정…美 전기차 가격인상 불가피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8 10:09:05
  • -
  • +
  • 인쇄

미국 상무부가 중국산 흑연에 93.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고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흑연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로, 이번 조치가 미국에서 제조되는 전기차와 배터리 가격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미 상무부는 "중국이 자국보다 낮은 가격으로 흑연을 수출하며 시장을 교란했다"며 "중국 공급업체들이 우리에게 '덤핑'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미국내 흑연 공급업체들의 반덤핑 청원에 따른 예비 결정이지만 바로 실효돼 기업들은 즉시 관세를 납부해야 하며, 12월 최종 결정에서 부과가 철회될 경우 전액 환급받게 된다.

미국 음극재 공급자 연합체는 이번 결정을 환영하며 "덤핑은 중국이 경쟁을 약화시키고 지정학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악의적 수단"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현재 테슬라를 포함한 글로벌 전기차 업체들이 사용하는 정제 흑연의 거의 전량을 공급하고 있다. 미국은 이를 견제하기 위해 무역 제재에 나섰지만, 미국 내 공급망은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테슬라는 올해 2월 제출한 의견서에서 "미국 업체들과 공급계약은 맺었지만, 상업 생산 수준의 품질과 순도를 아직 확보하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는 전기차 가격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파나소닉에 따르면 흑연은 배터리 원가의 8% 미만이지만, 흑연의 가격이 두 배로 오를 경우 배터리 가격이 1000달러(약 139만원) 이상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LG에너지솔루션도 이미 미국에서 대규모 공장을 운영 중이지만, 미국산 흑연은 아직 품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해외 공급 의존도가 높아 이번 관세 결정에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미국은 이미 전기차 구매 보조금 축소를 결정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초 서명한 법안에 따라, 전기차에 적용되던 세금감면 혜택은 오는 9월 30일 종료된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도 축소되는 상황에 배터리 가격까지 오르게 되면, 전기차 자체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