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탄소중립 멀어지나?...새 정부 '석유·가스 개발' 힘실어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4 18:12:35
  • -
  • +
  • 인쇄
▲ 올 4월 28일 취임한 캐나다 마크 카니 총리(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어 캐나다의 새 총리 마크 카니도 석유·가스 건설을 위해 환경규제를 완화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지난달 28일 취임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13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CTV뉴스 인터뷰에서 캐나다를 '에너지 초강대국'으로 만들기 위해 원유와 가스 등 에너지 개발사업에 대한 정부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석유 및 가스 파이프라인의 신규 건설을 늘리기 위해 석유·가스 부문의 탄소배출량 상한을 조정하는 한편 쥐스탱 트뤼도 전 정부에서 도입한 환경규제를 완화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신임 총리의 이같은 기조는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들어선 이후 인접국인 캐나다에 대해 관세를 앞세워 강력한 압박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트뤼도 전 정부는 2019년 환경영향평가법(C-69)을 도입해 천연자원 개발시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도록 했다. 이에 보수당과 캐나다 석유생산자협회, 천연자원이 풍부한 앨버타주 등에서 반발한 바 있다.

앨버타주에서는 서부에서 동부 항구로 원유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 건설을 요구하고 있다. 카니 총리는 이날 인터뷰에서 자신을 '실용주의자'라고 지칭하면서 "앨버타주를 비롯한 다른 주 정부들과 협력해 탄소배출 규제 등 연방정부의 환경정책을 바꿀 의지가 있다"고 밝혔다. 

석유 및 가스 생산업체 스트래스코나 리소스의 아담 워터러스 회장은 "미국의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할 카니 총리의 가장 강력한 협상 카드는 캐나다의 에너지"라면서 "앨버타주는 미국 걸프해안까지 파이프라인 건설을 원하지만 캐나다 석유 및 가스 업체들은 캐나다 석유 및 가스 수출을 다각화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독자적인 동서 파이프라인을 원한다"고 짚었다. 

이처럼 새 총리가 화석연료 에너지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을 보이자, 캐나다 기후활동가들의 우려는 커지고 있다. 기후행동네트워크의 캐롤라인 브루예트 대표는 "카니 총리는 재생에너지와 불안정한 화석연료 유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거부하는 모습"이라며 "기후위기 대응보다 재래식 에너지를 더 우선할 수도 있다"고 걱정했다.

카니 총리는 화석연료 못지않게 원자력과 수력발전 그리고 탄소포집 및 저장(CCS) 기술 분야에서도 캐나다가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