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만장자 90분 내뿜는 온실가스...일반인 평생 배출량보다 많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10-28 11:58:30
  • -
  • +
  • 인쇄
옥스팜 '생명을 위협하는 탄소불평등' 발간
'부유세' 부과해 저탄소전환 재원 확보해야
▲지난 2022년 기후변화로 국토 3분의 1이 물에 잠긴 파키스탄 (사진=옥스팜)


억만장자가 90분간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일반인이 평생 배출하는 양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은 28일(현지시간) '생명을 위협하는 탄소불평등' 보고서를 통해 억만장자들의 사치스러운 교통수단과 투자를 통한 금융배출량을 살펴본 결과,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슈퍼리치' 50명이 평균 1시간30분동안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이 일반인이 평생 배출하는 탄소배출량보다 더 많았다.

이 '슈퍼리치' 50명은 연평균 184회 비행기를 타고, 425시간을 공중에서 보내면서 일반인이 300년간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을 뿜어내고 있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전용기 2대는 1년 중 25일을 비행하는데 이는 미국 아마존 직원들이 평균 207년간 배출하는 탄소배출량과 맞먹는다. 또 미국 월마트 상속인 월튼가의 요트 3대는 월마트 매장 직원 1714명이 1년간 배출한 탄소배출량을 뿜어냈다.

전세계 모든 사람들이 50명의 '슈퍼리치'처럼 생활한다면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억제하기 위한 탄소배출량의 상한선인 '탄소예산'은 이틀 안에 고갈된다. 이처럼 이들이 일상에서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은 일반인을 압도하지만, 이들의 투자로 인한 탄소배출량은 훨씬 더 많다.

옥스팜에 따르면 이들이 투자하는 금액의 40%가 석유, 광업, 해운, 시멘트 등 오염산업이고, 억만장자의 투자 포트폴리오의 오염도는 S&P 500에 투자한 것보다 거의 2배 더 심하다. 이 투자금이 저탄소 펀드에 투자됐다면 이들의 탄소배출량은 13배가량 낮아졌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제는 억만장자 50명이 내뿜은 탄소배출량이 기후위기에 대한 책임이 가장 적은 이들에게 가장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는 사실이다. 가장 부유한 상위 1%의 배출량은 1990~2023년 연간 1450만명을 먹일 수 있는 농작물 손실을 가져왔고, 이 피해규모는 2023~2050년 연간 4600만명 규모로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2120년까지 더위로 인한 초과 사망의 78%가 저소득 및 중하위소득 국가에서 발생한다는 예측이다.

이에 옥스팜은 오는 11월 11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리는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 참석하는 당사국들을 향해 상위 1% 부자들에게 영구 소득세와 재산세를 부과하고, 개인 전용기와 요트 등 탄소집약적인 사치 소비를 금지하거나 징벌적 세금을 매겨 기업과 투자자들이 배출량을 과감하고 공정하게 줄이도록 규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옥스팜은 저탄소전환을 위한 재원이 마련될 수 있도록 부유한 오염원에게 비용을 내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세계 슈퍼리치들에게 부유세를 부과한다면 연간 최소 1조7000억달러(약 2362조원)의 기후금융 재원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오염산업 투자에 부유세를 부과하면 1000억달러(약 139조원)의 추가 세수를 거둘 수 있다는 계산이다.

아미타브 베하르 옥스팜 총재는 "슈퍼리치들은 우리 지구를 마치 자신의 놀이터처럼 여기고, 쾌락과 이익을 위해 지구를 불태우고 있다"면서 "이들의 무분별한 오염과 무절제한 탐욕이 우리 공동의 미래를 위협하는 위기를 부추기고 있다는 것은 불공평할 뿐만 아니라 치명적"이라고 비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