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죽인 농약이…탯줄 타고 태반서도 검출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11-30 15:13:30
  • -
  • +
  • 인쇄
中연구팀 "네오니코티노이드 검출률 84%"
국내 살충제 남용에 신생아 발달 장애 우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의 높은 태반 통과 가능성 (사진=미국화학협회 환경과학기술)

올초 꿀벌 집단폐사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의심 받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농약이 사람의 탯줄을 타고 태아에게까지 전달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 광저우 중산대학교 환경과학·공학과 연구진은 임산부 태반과 탯줄의 혈청 속에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 성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실험에 참여한 95명의 임산부에게서 1가지 이상의 살충제 또는 대사산물(인체 내의 대사과정을 거쳐 특정 성분이 분해되면서 나오는 물질)이 검출됐다.

검출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성분은 아세타미프리드(ACE), 이미다클로프리드(IMI), 티아클로리드(THD), 클로티아니딘(CLO), 티아메톡삼(THM) 등이고, 해당 살충제의 대사산물은 엔-데스메틸-아세타미프리드(N-dm-ACE)와 올레핀-이미다클로프리드(of-IMI) 등 2종이다.

이 가운데 IMI는 독성이 가장 강해 캐나다에서는 수생생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표수 수질기준에 IMI 농도 허용치를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IMI의 검출률은 산모 혈청에서 78%, 탯줄 혈청에서 84%로 7가지 성분 가운데 가장 높은 확률로 나타났다. 농도로 살펴봤을 때에도 IMI는 산모 혈청에서 0.79ng/ml, 탯줄 혈청에서 1.84ng/mL로 가장 높은 중간값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산모 혈청과 제대 혈청의 농도를 비교해 살충제 성분이 태반으로 전이되는 '이동 효율'(TTE)를 계산했다. 전체 7가지 성분의 TTE 중간값을 1로 놓고 봤을 때 IMI는 이를 한참 웃도는 '1.61'에 달했다. 탯줄 혈청의 농도가 산모 혈액 속 농도보다 높아 태반을 손쉽게 통과하면서 오히려 태아에 IMI가 더 많이 농축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네오니코티니오이드계 살충제의 대사산물은 순수한 니코틴만큼의 독성이 있어 인간의 신경 세포도 손상시킬 수 있다. 해당 물질은 도파민에 민감한 신경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해 기능을 방해한다. 조기 노출되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선천성 심장 문제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이번 연구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남용이 신생아의 발달 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벼와 과수농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작물의 진딧물, 총채벌레, 벼멸구, 벼물바구미, 꽃매미 등의 방제용 약제로 많이 판매되고 있어 지난 2021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의 국내 판매액은 1426억원 규모로 전체 살충제 판매량의 22.7%를 차지했다.

연구진은 "탯줄 혈청에 대사산물 검출량이 높은 이유는 태반에 살충제를 전환하는 효소가 있기 때문"이라며 "대사산물인 N-dm-ACE 역시 살충제인 ACE보다 독성이 심하다고 알려진 만큼 원래 살충제에 노출되는 것과 맞먹는 위험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해당 연구논문은 지난 2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협회(ACS) 환경 과학 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제철, CDP 선정 기후대응 원자재 부문 우수기업 수상

현대제철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분야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현대

'해킹사고' 부실 대응 SK텔레콤..."ESG 등급 하락 불가피"

SK텔레콤 해킹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유출되면서 SKT의 ESG평가에서 사회(S)부문과 종합부문 등급이 1등급씩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객

KB국민은행, 올해 지역에 '작은 도서관' 9곳 더 늘린다

KB국민은행이 올해까지 134개의 'KB작은도서관'을 조성해 미래세대를 위한 독서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KB국민은행은 지난 14일에는 울

LG유플러스, CDP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LG유플러스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호텔에서 열린 '2024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코리아 어워즈'에서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CDP Climate

11번가 사령탑 교체...신임 대표로 박현수 CBO 선임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가 지난 29일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신임 대표이사로 박현수 11번가 CBO(최고사업책임)를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안정은 전임 대

경기도 푸드뱅크, 세제와 휴지 등 '생활용품'도 기부받는다

경기도가 푸드뱅크를 통해 식품뿐만 아니라 세제와 휴지 등 다양한 생활용품도 기부받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푸드뱅크·마켓은 취약계층에 기부

기후/환경

+

대구 함지산 산불 '재발화'...강풍에 불씨 되살아나

이틀만에 주불이 잡히면서 완전된 것으로 알았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다시 발화하면서 주민들이 다시 대피했다. 건조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불어대는

기후위기로 야외 음악공연도 '위기'...티켓 판매부진 현상

호주에서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RMIT)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발간한 '뮤

"해운탄소세 피하려면 '전기추진선'으로 교체해야"

탄소배출이 많은 선박을 전기추진선으로 대체하고 녹색해운항로를 개척하면 해운부문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운은 전

기후재해 보상은 왜 제한?...손보사 車보험약관 공정위 '심판대'

기후위기로 올여름도 무더위와 수해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 피해는 보상하지 않는 보험약관의 불공정 조항을 개정해

대구 산불 이틀째 진화율 82%...주불 아직도 못잡아

지난 28일 발생해 이틀째 번지고 있는 대구 함지산 산불이 아직도 주불을 잡지 못하고 있다.산림 당국에 따르면 29일 오전 8시 기준 대구시 북구 노곡&mid

트럼프 '해저광물' 개발규제 완화에..."생태계에 치명적" 비판

미국이 해저 광물 개발을 장려하기로 한 결정에 "해양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