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석탄 손 안뗐어?…'기후금융' 눈감은 코리안리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9 10:46:56
  • -
  • +
  • 인쇄
전세계 탈석탄 넘어 탈석유· 탈가스 움직임
국내 보험사는 낙제…삼성화재도 동참 필요

세계 보험사들이 탈석탄을 넘어 탈석유·탈가스로 '기후 금융' 기조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재보험사인 코리안리가 탈석탄 선언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화재는 석유와 가스에 아무런 제한 정책을 두지 않아 평가 순위가 하락했다.    

19일(현지시간) 보험사의 기후 대응 정책을 평가해 온 글로벌 비정부기구(NGO) 연대체인 '인슈어 아워 퓨처'(Insure Our Future, 이후 IoF)는 평가 보고서에서 국내 유일 평가 보험사인 삼성화재 순위가 지난해 17위에서 20위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아직까지 탈석탄 선언조차 하지 않은 한국 유일의 재보험사인 코리안리에는 책임있는 역할을 촉구했다.

IoF는 올해 전세계 대부분의 대형 보험사가 신규 석탄 프로젝트에 대한 보험 인수(acceptance)를 철회할 정도로 탈석탄 기조가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IoF에 따르면 2020년 23개였던 탈석탄 선언 보험사는 2021년에는 35개, 올해는 41개로 늘었다. 1차 보험 시장의 39.3%, 재보험 시장의 62.1% 점유율을 가진 보험사들이 탈석탄 행렬에 동참한 것이다.

국내 시민사회단체의 연대 네트워크인 석탄을 넘어서(Korea Beyond Coal)에 따르면 국내 11개 주요 손해보험사들 중 삼성화재, 현대해상 등을 포함한 8개 주요 보험사들은 신규 석탄화력발전 건설 및 운영에 대한 보험을 인수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탈석탄' 선언에 동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국내 건설 중인 강릉 안인 석탄화력발전소와 삼척 석탄화력발전소는 건설된다 하더라도, 운영 과정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IoF는 탈석탄 선언 보험사가 늘면서 석탄 회사의 보험료는 최대 20%나 올랐다고 밝혔다. 석탄 회사의 보험을 취급하는 회사가 줄면서 전에 비해 보험 적용 범위는 줄고, 보험료는 오른 것이다.

하지만 국내와 전세계 보험사들의 탈석탄 선언 흐름에도 불구하고, 아직 한국의 유일한 재보험사인 코리안리는 탈석탄 선언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 세계 1위 재보험사 뮤닉 리(Munich Re), 2위 재보험사 스위스 리(Swiss Re), 알리안츠 등이 올해 석유와 가스 탐사 및 생산에 대한 보험까지 배제하는 정책을 새로 수립한 것과는 대조되는 행보다.

개별 보험사의 탈화석연료 정책을 평가해 순위를 매긴 선라이즈 프로젝트 프로그램 디렉터 피터 보사드(Peter Bosshard)는 "기후위기는 신규 화석연료 사업이 추진되면 안 된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외의 선도적인 재보험사들은 화석연료 사업에서 빠져나오고 있다"며 "코리안리도 전세계적인 흐름에 동참하여 석탄은 물론 석유와 가스 프로젝트에 대한 보험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수연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국내 주요 보험사들 대부분이 이미 신규 석탄 보험을 인수하지 않기로 한 발을 내디뎠음에도 코리안리는 아직 탈석탄 선언조차 하지 않았다"며 "코리안리는 국내 유일 재보험사로서 책임감 있는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IoF는 올해 세계 보험업계가 탈석탄뿐만 아니라 탈석유·탈가스에도 동참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석유와 가스 관련 회사에 대한 보험 제공 제한 정책을 도입한 보험사는 지난해 3개에 불과했는데 올해는 13개로 급증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스위스 리와 알리안츠는 신뢰성 있는 전환 계획을 제시하지 않는 석유와 가스 회사에 대한 기존 보험 지원도 단계적으로 중단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삼성화재는 석유와 가스에 아무런 제한 정책을 두지 않아 지난 평가에서 순위가 하락했다. 삼성화재는 국내 보험사로 유일하게 '스코어카드'에 포함되는 세계 30개 주요 보험사 가운데 올라 있는데 지난해 17위에서 올해 20위로 떨어졌다. 보샤드 프로그램 디렉터는 "삼성화재는 올해 일본의 비슷한 경쟁사인 솜포(Sompo-15위), 도쿄 해상(Tokio Marine-16위) 등에 비해 뒤처지게 되었다"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는 기후위기로 유발된 자연재해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재보험사 뮤닉 리는 자연 재해로 인한 세계 손실 총액이 2019년 1660억달러(약 236조원)에서 지난해 2800억달러(약 398조원)로 늘었다고 추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