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홍수·토네이도...기후재난에 美 주택보험료 1년새 12% '껑충'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8-08 16:58:59
  • -
  • +
  • 인쇄
산불과 홍수 발생 위험 지역 보험료 더 높아
침식과 해수면 상승에 해안부동산 우려 커져


기후변화로 자연재해가 증가하면서 미국의 부동산 보험료가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

미국 보험비교업체 폴리시지니어스(Policygenius)는 2021년 5월~2022년 5월까지 주택 보험료가 급등해 미국 주택소유자의 약 90%가 연평균 134달러를 추가 부담했다고 미국 CNBC가 최근 보도했다.

1년 사이에 미국 평균 주택 보험료는 12.1% 증가했지만, 아칸소와 워싱턴, 콜로라도 등 재난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보험료가 더 크게 올랐다. 이에 전문가들은 자연재해로 인한 재건비용 증가, 노동력 부족 및 수요 급증이 주택 보험료 인상을 야기했고, 앞으로 주택 보험료는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해양대기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파와 산불, 홍수, 토네이도 및 기타 악천후 등의 자연재해로 200억달러의 피해가 추가로 발생했고, 이를 포함해 20건의 자연재해로 발생한 비용은 1450억달러에 이른다. 이 가운데 750억달러는 허리케인 이다로 발생했다. 제레미 포터(Jeremy Porter) 미국 기후변화비영리단체 퍼스트스트리트재단(First Street Foundation) 수석연구책임자는 "이런 일들이 자주 일어나면서 더 많은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브래드 라이트(Brad Wright) 미국 공인재무설계사 론치파이낸셜플래닝(Launch Financial Planning) 업무집행 담당자는 "침식과 해수면 상승으로 해안부동산 고객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해안가 주택 매입을 고려할 경우 홍수위험과 부동산 보험료 관련 질문은 항상 빠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 연방재난관리청(FEMA)은 미국에서 100년에 한 번 홍수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부동산이 총 800만채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퍼스트스트리트재단은 2020년 보고서에서 이 숫자가 거의 2배로 늘었다고 밝혔다.

미국 소비자정보분석업체 밸류펭귄(ValuePenguin)은 홍수피해에 따른 연간 평균 보험료가 985달러일 것으로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재해위험이 높은 지역에서는 이 비용이 훨씬 더 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지난해 10월 FEMA에서 홍수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편하면서 일부 해안부동산 보험료가 700~800달러에서 연간 4000달러~5000달러까지 인상됐다. 라이트는 "이같은 인상폭은 저소득 가정이나 퇴직자, 특히 가족으로부터 상속받은 부동산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매우 큰 부담일 것"으로 우려했다.

산불위험에 따른 비용도 올랐다. 퍼스트스트리트재단은 미 전역 최소 1000만개의 부동산이 큰 산불 위험에 처한 것으로 보고 있다. 마이클 배리(Michael Barry) 미국 보험정보연구소(Insurance Information Institute) 최고커뮤니케이션책임자는 주택보험사가 위험을 반영해 보험상품가격을 책정하면서 산불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의 보험료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가령 캘리포니아에서는 2021년 5월부터 2022년 5월까지 보험료가 10% 가까이 올랐는데, 폴리시지니어스에 따르면 여기에는 산불의 증가가 부분 영향을 미쳤다. 빌 패럿(Bill Parrott) 텍사스주 재무설계사 패럿웰스매니지먼트(Parrott Wealth Management) 사장은 "산불이나 홍수위험이 큰 지역으로 이사할 경우 운송업체가 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배리 책임자는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부동산을 매입하기 전 클라이메이트체크(Climate Check) 또는 리스크팩터(Risk Factor)와 같은 무료 측정도구를 사용해 특정 부동산에 대한 장기 기후위험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