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돌고래·뿔제비갈매기...개체 급감하는 해양생물 5종 '포획금지'

나명진 기자 / 기사승인 : 2021-08-19 14:29:41
  • -
  • +
  • 인쇄
개체수 급감하는 5종 해양보호생물로 추가 지정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되는 큰돌고래

큰돌고래, 발콩게, 빨간해면맨드라미, 검은머리갈매기, 뿔제비갈매기가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된다.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되면 '해양생태계법'에 따라 포획이나 채취 등이 금지된다. 만약 이를 어기면 최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뿐만 아니라 가공하거나 유통, 보관 그리고 훼손하는 경우도 처벌된다. 

또 이번에 지정된 해양보호생물을 보관하고 있는 사람은 1년 내에 해양수산부에 이를 신고하고 보관신고 필증을 받아야 한다. 다만 학술연구나 보호·증식 및 복원 등의 목적으로 해양수산부 장관의 허가를 받은 경우는 처벌에서 제외된다.

큰돌고래는 보통 20여마리 이하로 무리지어 다니지만 간혹 수백마리 무리도 발견된다. 다른 고래 무리와 어울리기를 좋아해 동해에서 흑범고래와 같이 무리지어 이동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동해와 남해에서 발견되는 큰돌고래는 무분별하게 포획되고 있는 탓에 개체군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호가 시급한 종이다. 

▲서해안 2곳에서만 서식하는 무척추동물 '발콩게'

우리나라 일부 해역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무척추동물인 발콩게는 달랑게과 엽낭게속 3종(엽낭게, 눈콩게, 발콩게) 가운데 제2걷는다리가 가장 긴 종이다. 과거에는 서해와 남해 10여곳에 서식했지만 최근에는 2곳에서만 명맥을 유지할 정도로 서식지가 크게 줄었다. 서해안의 모래갯벌 중 상부지역, 특히 무안지역의 황토성분이 섞인 굵은 모래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버섯 모양의 빨간해면맨드라미는 붉은색을 띠는 폴립을 가지며 몸체는 짙은 갈색이다. 수심 10~30m 수직 암벽이나 경사진 암반에 붙어서 산다. 남해안에만 일부 서식하는데 최근 서식지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수온상승에 매우 취약하다. 남해안 일대의 환경변화로 최근 2~3년 사이에 가거도를 비롯한 대규모 군락지가 사라질 위기다.

▲왼쪽부터 빨간해면맨드라미, 검은머리갈매기, 뿔제비갈매기

검은머리갈매기는 몸길이 약 30cm이고, 날개는 약 27~30cm 정도다. 여름에는 머리가 검은색을 띠고, 겨울에는 흰색에 어두운 무늬가 나타난다. 목과 배부분 및 꼬리는 흰색을 띠고 부리는 검은색이며, 흰색의 눈테가 있다. 수컷이 암컷보다 좀 크다. 한국과 중국에 주로 서식하며, 주로 갯벌에 접한 해안과 바다와 접한 강하구에 산다. 무리를 지어 서식하는 습성이 있으며 수십에서 수백개체의 무리로 움직일 때도 있다.

뿔제비갈매기는 머리 끝부터 꼬리까지 전체적으로 흰 깃털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검은색을 띤다. 부리의 대부분은 주황빛 노랑색을 띠지만 부리끝이 검은색이다. 한국과 중국, 대만 등에서만 번식한다. 현재 남아있는 개체수는 100마리 미만으로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종이다. 국내에서는 서해안 칠산도(육산도)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양수산부는 이 5종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는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해양생태계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23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 등을 거쳐 올 하반기에 공포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포유류 18종, 무척추동물 34종, 해조‧해초류 7종, 파충류 5종, 어류 5종, 조류 14종 등 83종이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돼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