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처리에만 골몰?..."2040년까지 플라스틱 생산 막아야"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7-02 14:37:10
  • -
  • +
  • 인쇄
세계 연구자들, 사이언스에 '특별보고서' 게재


2040년까지 순차적으로 플라스틱 생산을 금지하는 국제조약을 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일 세계 각지의 연구자들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를 통해 2040년까지 신규 플라스틱 생산을 순차적으로 줄여나가고, 종국에는 퇴출시켜야 한다는 내용의 특별보고서를 게재했다. 또 이를 강제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19년 한해에만 3억6800만톤에 달할 정도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플라스틱이 실제 재활용 되는 비율은 16% 수준에 그쳤으며, 분리 수거 체계를 완벽하게 구축하더라도 현행 기술로 재활용 가능한 폐플라스틱은 전체의 50%에 불과하다.

상대적으로 큰 플라스틱 폐기물 외에도 미세한 플라스틱이 바다 생태계뿐 아니라, 육상과 공기중 그리고 폐와 태반을 포함한 인체 내부에서도 발견되면서 심각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각국의 정부는 바다에서 발견되는 플라스틱이나 버려지는 폐기물로서의 플라스틱 처리에만 골몰했다. 이에 연구자들은 플라스틱 폐기 과정은 물론 강제력을 동원해 새로 생성되는 플라스틱의 양을 줄이고, 재활용 인프라에 인센티브를 부여해 플라스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가치사슬 내 플라스틱의 생애주기를 면밀히 살펴야 하고, 플라스틱 저감 조처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비용과 편익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게 연구자들의 분석이다. 즉, 플라스틱 원료를 추출하는 단계부터 국제 공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야 각자의 책임과 몫을 공평하게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플라스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2월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에서 각국 정부와 비정부 기구들은 플라스틱 문제를 다루기 위한 국제협의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지난달에는 환경파괴를 국제범죄로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에코사이드'(ecocide)에 대한 법 초안이 공개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연구진의 판단이다. 이에 연구진은 특별보고서를 통해 국제사회가 3가지 법적요건을 갖출 것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첫째 2040년까지 재활용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플라스틱 생산을 중단할 것 △ 둘째 플라스틱 순환경제를 통해 플라스틱 재활용 장려책을 마련할 것 △ 셋째 전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정화사업을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

특별보고서 저자 가운데 한 명인 독일 기후관련 싱크탱크 아델피(Adelphi)의 수석고문 닐스 시몬은 "플라스틱 환경오염이 주는 피해는 종 다양성, 동물 서식지, 인간의 건강 등 생물학적인 부분부터 관광업, 문화유산 등 사회·경제적인 부분까지 망라한다"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평한 절차를 통해 순환경제를 만들고 플라스틱 생산량을 줄이는 등 전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기술만으로 플라스틱 위기를 해결할 수 없고, 강력한 규제틀, 효율적인 폐기물 수집을 위한 투자, 인프라 관리, 고분자화학 개발, 생애주기 설계, 소비자 행동관리 등 여러 접근법들의 혼합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환경

+

기후변화에 위력 커진 태풍...알래스카 마을 휩쓸었다

미국 알래스카 해안이 태풍 할롱에 초토화됐다. 폭풍으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1500명 이상의 마을 주민이 이재민이 됐다.15일(현지시간) 알

올여름 52년만에 제일 더웠다...온열질환자 20% '껑충'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던 올여름 온열질환자 수가 작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9월 2

호주 열대우림, 탄소흡수원에서 '배출원' 됐다

기후가 점점 더 고온건조해지면서 탄소 흡수원인 열대우림이 역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연구진은 호주 퀸

CO₂ 농도 사상 최고치…WMO “기후시스템,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기후시스템이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고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15일(현지시간) AP통

200개 마을이 고립됐다...멕시코 몇일째 폭우로 피해 속출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가 멕시코 중부와 동부 지역을 강타하며 최소 66명이 숨지고 75명이 실종됐다.16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멕시코 중

기후변화에 英 보험시장도 '지각변동'..."주택 수백만채 버려질 것"

기후변화로 홍수가 잦아지면서 미국에 이어 영국의 주택보험 시장도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14일(현지시간) 가디언은 영국 보험업계 분석을 인용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