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단상] '밤이 선생이다'...나에게도 그런가?

황산 (칼럼니스트/인문학연구자) / 기사승인 : 2025-02-24 08:00:02
  • -
  • +
  • 인쇄

'밤이 선생이다'는 은유는 우리에게 잔잔하면서도 심원한 의미를 불러일으킨다. 황현산의 산문집 <밤이 선생이다>의 인기는 실은 이 기발하고 역설적인 표현에 힘입은 바가 적잖을 거다. 황현산의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 그의 작가 정신, 언어를 낯설게 배치하고 풀어내는 그의 절묘한 문체, 의식의 흐름대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글쓰기 기법, 글 속에 흐르는 문학적 향기, 이 모든 것들이 '밤이 선생이다'는 한마디 발화 속에 다 담겨있는 것같다.

그런데 책 속에 담긴 80개의 산문들을 다 뒤져도 '밤이 선생이다'를 제목으로 삼고 있는 글이 보이지 않는다. 대개의 시집이나 산문집은 작품 속의 제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마련인데, 이 어찌된 일인가!

밤이 선생이라니? 이 말은 무슨 의미일까. 독자들에게는 '밤'과 '선생'의 의미가 어떻게 연결되는 걸까. 작가는 과연 어떤 맥락에서 이를 말하고 있는 걸까.

산문 '낮에 잃은 것을 밤에 되찾는다'에서 그 단서를 찾게 된다. 이 글에서 황현산은 뮌헨 올림픽 개막행사인 윤이상의 오폐라 <심청>을 보다가 "낮에 잃은 것을 밤에 되찾는다"라는 가사 자막을 보고 이를 둘러싼 일화를 들려주고는 이렇게 말한다.

"이 대본의 착상은 아마도 괴테의 『파우스트』 가운데 한 구절, '낮에 잃은 것을, 밤이여, 돌려다오'라는 그 유명한 구절일 것이다. 여기서는 낮이 이성의 시간이라면 밤은 상상력의 시간이다. 낮이 사회적 자아의 세계라면 밤은 창조적 자아의 시간이다."

"낮에 잃은 것을 밤에 찾기란 결국 그 횡포의 희생자들을 복권하는 일이며, '어둠의 입'이 해줄 수 있는 말이란 현실에서 통용되는 말의 권력을 넘어서 역사의 말이자 미래의 말이다."

작가로서의 황현산 특유의 시간 감각과 연결되어 시간의 질과 성격이 묘사된다. 그에 의하면, 낮은 이성의 시간이고 밤은 상상력의 시간이다. 인문학적 언어를 빌리자면, 둘을 각각 로고스의 시간과 카오스의 시간, 아폴론적 시간과 디오니소스적 시간으로 비유할 수도 있을 성싶다.

또한 황현산은 낮을 사회적 자아의 세계로, 밤을 창조적 자아의 시간으로 대조한다. 낮이면 우리는 사회적 질서 속에서 사회적 자아의 가면을 쓰고 일하고 사람을 만나고 사회적 무대에서 연기한다. 하지만 밤이 되면 우리는 홀로 어둠 속에서 자신의 빛을 뿜어낸다. 낮은 조형된 틀이 우리 신체와 의식을 옥죄고, 밤에는 이에서 해방되어 상상력이 춤춘다.

그러므로 황현산이 말하는 밤은 깊은 밤이자, 자유로이 상상하고 사색하며 언어의 씨줄과 날줄을 잇는 작가의 밤인 것이다. 어떻게? 글쓰기를 하며, 창작을 하면서.

황현산의 밤은 물리적 시간이기도 하다. 해가 지고 어둠 속에 홀로 남아 작업하는 글쓰기의 장인, 그 사람은 모두가 잠든 시간에 깨어 배운다. 낮시간에 오염된 나를 건져내고, 내면 깊숙한 곳에서 언어를 길어 올린다. 밤은 선생이 되어 낮에 잃은 것을 되찾게 하고 상상의 날개를 펼치게 한다.

황현산이 암시하는 '밤'과 '선생'의 이미지와 별개로 독자는 다르게 해석할 자유가 있다. 밤을 자기 삶의 고통과 고난의 시간으로 이해한다면, 그 어둔 밤은 삶의 진실과 자기 자신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깨닫게 되는 스승이자 레슨 과정이 된다. 우리는 저마다 그간 통과해 온 밤들과 지금도 견디고 배우고 있는 밤이 있을 것이다. 밤이 선생이 되어 잔인한 흑암의 난타를 가하며 우리를 단련시키고 새롭게 조형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렇게 본다면, 이 밤은 블랑쇼가 말하는 재난의 밤, 카오스, 혹은 바깥의 경험과도 같다. 블랑쇼는 글을 쓰는 이는 짙은 밤의 경험, 자기 삶의 자리에서 추방당하고 추락하는 카오스의 상태, 나를 잃어버리는 바닥의 밑바닥, 더 이상 자기 자신으로 존재할 수 없는 나의 바깥에서 진정한 글쓰기가 시작된다고 말했다. 내 초라한 인생을 되돌아보니, 과연 그렇다. 살아오면서 어찌할 수 없는 묵직한 어둠을 마주하고 깊은 고독을 경험한 자리에서 나는 책을 읽고 시를 썼다. 그때마다 삶에 대해, 삶 자체에 대해 근원적인 물음을 던졌던 것 같다. 나의 밤은 레슨의 시간이었다.

우리는 밤을 꺼려 한다. 언제나 빛을 찾고 낮을 기다린다. 하지만 진정 자기 삶을 찾는 이들은 밤을 껴안는다. '밤이 선생이다'고 말할 있는 사람이야 말로 진정 강한 자이다.

심리학과 정신분석을 공부한 어느 독자는 이렇게 말한다. "황현산의 밤이 무의식과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아주 신선하고 예리한 통찰이 아닐 수 없다. 규정된 나, 사회적 자아, 낮의 질서와 규범과 힘들이 해체된 자리에서 우리의 무의식은 춤추고 일렁거리고 말을 건다. 무의식의 장이야말로 창조와 생성의 무한한 원천이라고 본다면, 실로 밤은 잠재성이 충만한 에너지의 장이 아닐 수 없다.

과연 밤이 선생이다. 밤을 껴안을 일이다. 밤에게 배울 일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