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시 “‘김 위원장이 바라는 것을 이루어 주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해 달라”고 부탁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일정을 마친 문 대통령은 이날 다음 순방지인 뉴질랜드로 향하는 공군1호기에서 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정은 위원장 결단에 달렸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결단에 따라 연내 답방은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밝히며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이 연내 서울을 답방할 경우 ‘남은 합의를 마저 다 이행하기를 바라고, 바라는 바를 이뤄주겠다’는 메시지를 전해달라”고 당부했다.
“한미정상, 김 위원장 서울 답방에 북미 대화 진전 인식”
한미정상은 김 위원장 우리나라 답방이 북미 간 비핵화 대화에 아주 긍정적 역할을 하는 모멘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도 인식을 같이 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에서 한 가지 우려를 덜었다”며 “북미 간 정상회담이나 고위급회담이 이뤄지기 전에 김 위원장의 답방이 이뤄지면 혹시라도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있었는데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으로 그런 우려는 사라졌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전 세계에 보내는 ‘평화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피력했다.
“北 지도자의 서울 방문은 그 자체로 ‘평화의 메시지’”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 서울 답방은 그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며 “북미정상회담이 70년 만에 이뤄진 역사적인 큰 사변이었듯 북한의 지도자가 서울을 방문한 적은 한 번도 없었기에 서울 답방이 이뤄지면 그 자체가 세계에 보내는 평화, 비핵화와 남북관계 발전에 대한 의지 이 모든 것을 다 담은 메시지가 된다”고 강조했다.

답방과 관련해 우려되는 갈등에 대해서는 “저는 김 위원장 답방을 두고 국론 분열이 있을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답방을 통해 한반도의 비핵화와 남북 간 평화가 이뤄진다면 그것이야말로 모든 국민이 바라는 바이지 않느냐. 거기에 보수·진보가 따로 있고, 여야가 따로 있겠느냐. 모든 국민이 쌍수로 환영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